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컷
shot
d라이브러리
"
숏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4 제1회 SF
숏
포머블 공모전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8편의 SF스토리를 각색한
숏
필름 8작품이 상영됐다. 핑키의 모험 원작자인 박지현 씨는 “(
숏
필름에는) 제가 의도한 바를 살린 부분도, 뜻밖의 지점도 드러나 있어 색다른 경험이었다”면서 “독자들에게 나의 글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엿볼 수 있어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경애 동아사이언스 ... ...
[제페토 메타버스 여행법] 아이템 크리에이터의 노하우를 배워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제페토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죠. 최근에는 제페토 유저들 사이에서 크롭티와
숏
팬츠, 미니드레스, 미니스커트가 인기를 끌고 있어요. 물론 로맨틱한 롱 드레스나 프릴이 잔뜩 달린 스타일, 야구점퍼 같은 스포티한 스타일을 좋아하는 유저들도 은근히 많죠. 오늘 만나 볼 은키영키(@eunky1st ... ...
[르포] '씨즈'
숏
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그때마다 두려워했다. 침수가 일상인 주민들의 이야기를 글과 영상으로 담아왔다.➡︎세계에서 가장 빨리 가라앉는 도시 근황 | 침수도시 ep.01 자카르타https://www.youtube.com/watch?v=Y3jFYQ6mOPU➡︎뉴욕 반지하도 잠긴다 | 침수도시 ep.02 뉴욕https://www.youtube.com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다시 태어나는 겁니다. 영화 ‘나의 채티에게’를 비롯해 작년 수상작 7개를 각색한
숏
필름 7편은 오는 11월 4일 열리는 2023년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에서 최초로 상영될 예정입니다.5분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라는 떡밥을 풀었으면 5분 안에 내용이 정리가 돼야해요. 이것 저것 다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결과를 얻었어요. 이번엔 IMO 문제선정위원회 위원으로 선정돼 롱리스트에서 문제를 추려
숏
리스트를 제작해 단장 회의에 넘기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여러 분야 중 조합 분야를 담당한 김 위원은 전 세계 국가가 제안한 약 40개 조합 문제 중 7, 8개 문제를 선정했어요. 김 위원은 문제를 하나하나 ... ...
[질문하면 답해ZOOM] 왜 현악기는 온도가 높거나 낮으면 줄이 풀리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카오스 수컷이 태어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손을 남기지 못하죠. 옛 그림에도 코
숏
고양이들이 등장합니다. 조선시대 화가 조지운이 그린 ‘유하묘도’를 보면 고양이들이 까치와 함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성염색체: 어떤 생물의 성별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들어있는 ... ...
[제2회 SF
숏
포머블 공모전 수상작] Dear My PI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또는 ‘50년 뒤 챗GPT’를 주제로 8컷 만화를 그리는 제2회 SF
숏
포머블 공모전이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영예의 대상은 ‘우주에게 사랑 받는 존재’를 ‘Pi’로 표현한 김다은 작가에게 돌아갔어요. 심사를 맡은 서후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창의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며 구성력이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
폼 사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숏
폼이 뜬다?! 틱톡 챌린지나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같은 짧은 영상을 본 적 있나요? ‘
숏
폼’은 짧다라는 뜻의 ‘
숏
(Short)’과 형식을 ... 너무 길다면 오늘은 한번 과감하게 산책해 보는 건 어때요? 우리가 사는 현실은 30초짜리
숏
폼이 아니라 하루 8만 6400초 짜리 롱폼이니까요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가장 먼저 제시될 정도로 도파민 중독이란 단어가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짧은 영상(
숏
폼) 콘텐츠, SNS, 자극적인 음식 등 감각적 자극이 뇌에서는 도파민 분비로 연결돼 자극 자체에 중독되게 만든다는 뜻인데요. 근거 있는 이야기인가요? 구자욱 책임연구원: 진화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파민이란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