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엄지손가락"(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아니었다”며 “무한 스크롤 기능을 만든 것을 후회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필요조차 없는 디자인도 나왔다. 자동 재생은 사용자에게 획기적인 편리함을 제공한다. 인스타그램 스토리는 사용자에게 마치 책을 넘겨주듯 콘텐츠를 하나씩 보여준다. 과거 유튜브나 ...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사람의 엄지손가락만 한 작은 새예요. 꽃의 꿀을 먹는데, 1초에 무려 60번이나 날갯짓을 합니다. 날갯짓이 너무 빨라서 우리 눈에는 잔상만 보이지요. 벌새의 날갯짓을 제대로 보려면 벌새의 움직임보다 훨씬 짧은 순간을 사진으로 찍어야 해요. 그런데 벌새의 날갯짓과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짧은 ... ...
- [어수티콘 사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한눈에 어림하기 어려운 것들도 얼마만큼인지 가늠할 수 있어서 편리하지요.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벌린 거리인 한 뼘을 단위로 정했다면, “내 키는 열 뼘이야!”, “이 책의 길이는 두 뼘 반만큼이야!” 등으로 말할 수 있어요. 어수동 : 그런데 나의 한 뼘과 친구의 한 뼘은 그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폭만큼의 길이를 나타내. 누구든 엄지를 척 꺼내 들어 길이를 잴 수 있지만, 사람마다 엄지손가락의 크기가 다르면 곤란한 상황이 생기겠지? 그래서 더 정확하게 길이를 표현하려고 지금은 1in의 길이를 2.54cm로 정했어. 가장 오래된 길이 단위, 큐빗(cubit) 허허허, 난 큐빗(cubit)일세. 팔을 쭉 폈을 ... ...
- 무궁화 새롭게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해외에서 사랑을 많이 받은 삼일홍에 가장 큰 애착이 간다”고 밝혔죠. 농장에는 엄지손가락만큼 꽃잎이 작은 무궁화도 있었습니다. 심 교수는 “최근에는 사람 가슴 밑까지 오는 키 작은 무궁화가 인기가 많다”며, “시대마다 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많이 사랑받는 무궁화의 종류가 달라질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편리해 동전 던지기가 오래 사용된 이유는 일단 단순하고 편리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엄지손가락으로 동전을 위로 튕기기만 하면 둘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어 간단하다. 또 빠르다. 게다가 동전이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할 수 있다. 특히 승패와 선공을 가려야 하는 스포츠에서 예부터 동전 ...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만들었다.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논문에서는 이렇게 분석했다. 동전을 던질 때 엄지손가락이 동전에 흔들림을 줌으로써, 동전은 축이 흔들리는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더 오랫동안 공중에 머물게 된다. 그에 따라 처음 상태대로 떨어질 확률이 51%라는 것이다. 2009년에는 ... ...
- [만화 뉴스] 마술을 본 원숭이, 아는 만큼 속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4월 4일,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은 사람과 손가락 구조가 비슷한 원숭이만 손가락을 활용한 마술에 속아 넘어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3종의 원숭이 24마리에게 프렌치 드롭●을 보여주고 먹이를 감춘 손을 선택하게 했어요. 그 결과, 사람처럼 엄지가 마주 보고 있 ... ...
- [Extended 에디터 노트]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기발한 애정템들을 증강현실(AR)로 만나보세요! [AR 모드로 전환하시겠습니까? ▶ 왼손 엄지손가락을 ‘따봉’ 하듯 펴 주세요] 마지막은 XR을 구현하는 공간 컴퓨팅 기술의 미래를 전망한 기사입니다. 68쪽으로 가보시죠. [▶ 오른쪽 눈 윙크!] 확장현실(XR) 안경을 쓰는 순간 거실 소파는 청량한 ... ...
- [어수티콘 사전] 어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것을 ‘길이를 어림한다’고 말하지요. 길이를 어림할 때 ‘뼘’을 자주 사용해요.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잔뜩 벌린 거리가 한 뼘이지요. 어수동 : 길이를 잴 때 말고도 어림이 필요한가요? 수달 : 그럼요. 일상에서도 어림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공연장에 있는 사람의 수는 약 1만 500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