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증명할 수 있지요. 수렴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수학뿐만이 아니에요. 축구에서 골인의 정의를 수학적으로 생각해 볼게요. ‘아주 얇은 종이가 존재해서 그 종이를 좌우 골대 안에 있는 끝 선(end line)에 수직으로 세워서 공이 그 종이를 넘어가면 골인’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실제 축구 경기에선 ...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어떤 프로젝트인가오늘날 과학기술계에 필요한 정치는 ‘무엇이 문제’인지 찾고 정의하는 게 아닌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저는 2022년 8월에 구글에서 퇴사한 뒤 한국 스타트업의 최고제품책임자(CPO)로 일했어요. 당시 여러 규제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 ...
-
-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고파”_조천호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월 5일, 녹색정의당은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1호 인재’로 조천호 박사를 영입했다. 조 박사는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직을 퇴임한 후 방송과 강연, 책 집필 등을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얘기해왔다. 그가 총선 비례대표 후보로 변신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 ...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5억 년의 별에 주목했다. 즉 지적 생명체가 탄생할 조건을 드레이크 방정식보다 명확하게 정의한 것이다. 그 결과, 통신 기술을 지닌 외계 문명이 최소 36개라는 수치가 나왔다. 수학이라는 도구는 마치 마법사의 수정 구슬처럼 원하는 것을 보여준다. 수학을 이용하면 우리의 삶에 밀접한 것부터 ...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어떤 체계 안에 있는 많은 구조에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찾는 과정의 시작은 관찰입니다. 다만, 수학에서는 엄밀하고 정확하게 원리를 표현하고 증명해야 합니다. 진위를 분명히 판단할 수 있는 명제만을 다루는 것도 수학만의 다른 점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날씨가 추운지 ...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정의하자는 의견도 있다. 2021년 제9회 빅콘테스트에서는 한국형 배럴 타구 기준을 재정의하는 문제가 주어졌다. 빅콘테스트는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공모전인데, 미세먼지, 항공 운항, 게임 등 다양한 주제의 문제가 출제된다. 이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떨공삼’ ...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거리로 구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롤에서도 거리를 맨해튼 거리로 정의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니 여기서는 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를 모두 구해서 알아보고, 게임을 하며 어느 거리로 측정한 것이 더 맞는지 생각해보자 ...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내용은 다양한데, 현대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을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자연로그를 정의하는 상수 e를 만들었고,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푼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736년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7개의 다리가 있었는데, 이곳의 사람들이 한곳에서 출발해 ...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세쌍둥이 소수를 말할 땐 5, 7, 11이나 13, 17, 19처럼 간격이 2나 4인 세 쌍의 소수라고 정의한다. 또한 거대 소수를 찾는 것처럼 컴퓨터를 이용해 매우 큰 쌍둥이 소수를 찾는 사람이 있다. 현재 가장 큰 쌍둥이 소수는 2016년 발견된 2996863034895 1290000이다. 무려 388342 자릿수의 수다. 또 1018보다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위해선 알고 있는 것, 증명하고 싶은 것, 수학 개념 등을 먼저 정확하게 표현해야 해요. ‘정의’, ‘정리’, ‘문제’ 등의 형태로 나를 비롯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하죠. 현대 사회에서는 서로의 경험과 생각이 달라 같은 사실을 보고도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