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
그릇
갑
케이스
부
권
도관
d라이브러리
"
통
"(으)로 총 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
합과학 교과서] 급하다 급해! 어린 왕자의 S.O.S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물질이 방광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돼요. 따라서 오줌은 제때 배출하는 것이 좋답니다.●
통
합과학 넓히기 - 1초에 3m나 찍! 매미 오줌의 비밀여름철 나무 밑을 지나가다 매미의 오줌 세례를 맞아본 적 있나요? 매미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00배에 달하는 나무의 수액을 마셔요. 수액에서 영양분만 ... ...
[가상인터뷰] 몸에 닿으면 녹는 전자 잉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왜 이런 잉크를 만든 거야?우리 몸에 이상이 생겨서 혈관에 있는 내용물을 빼낼 때, 보
통
카테터라는 의료 기기를 써. 카테터는 고무나 금속으로 만들어지지. 이런 딱딱한 의료 기기는 잘못하면 우리 몸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그렇다고 의료 기기가 지나치게 말랑하면 정교한 작업이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너도 데려가 줄 수도 있잖아.” 형의 말을 주의 깊게 듣지는 않았다. 나는 신경을 온
통
보일러 온도계에 쏟고는 아주 섬세하게 버튼을 조절하고 있었다. 샤워할 때 수도꼭지를 돌리듯이 말이다. 동시에 키트를 보았다. 서서히 빛이 사라지는 것이 느껴졌다. 죽어 가는 사람의 심장 박동 같았다. 술집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여객기의 시대를 다시 불러올 수 있을까? 미국의 공공 정책 연구 기관인 국제청정교
통
위원회(ICCT)가 발표한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초음속 여객기 제조업체들은 2035년까지 2000대의 초음속 여객기를 판매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5년이면 당장 10년 뒤의 일이다. 김규홍 교수는 “초음속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거미강
통
거미 목에 속한 절지동물이죠. 이름만 거미일 뿐 진짜 거미 는 아닌 거예요.
통
거미는 거미와 어떤 점이 다를까 요?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우주 밖에는 뭐가 있을까? (조회 수 : 5.8만 회)채널명 : 방구석 과학 (구독자 : 9.6만 명)우주 바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이 편지 한
통
에서 시작됐다. 당시 최고의 수학자인 오일러에게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가 편지를 보냈다. 난제는 두 사람이 주고받은 편지에 적힌 내용이었다. 편지가 남아 있지 않았다면 둘 사이의 ... ...
기후위기가 뱃길을 바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아만다 린치 교수는 “북극 노선은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노선보다 30~50% 짧고,
통
과 시간을 약 14~20일 단축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북극 해역이 따뜻해지면 선박이 배출하는 탄소를 약 24%까지 줄이는 동시에 비용과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후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존재하면서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나트륨 이온을
통
과시키는 막 단백질입니다. DDT를 투여하면 나트륨 채널이 닫히지 않아 나트륨 이온이 계속 빠져나갑니다. 나트륨이 부족한 신경세포는 지속적으로 흥분해 빈대는 경련을 일으키며 죽죠. 뮐러는 세계 보건 위생에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있게 됐으니까요.” 어느 날 새벽,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의 담당 연구사에게서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그는 흥분한 목소리로 “아니 피가 섞인 침이 있더라고요!”라고 했다.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 이해하는 데에는 시간이 조금 걸렸다. 그러니까 임 씨의 앞치마에서 발견된 체액흔 중 하나에 호 ... ...
[헷갈린 과학] 줄의 개수가 달라요! 가야금 VS 거문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정악가야금과 산조가야금으로 나뉩니다. 산조가야금은 정악가야금보다 진동이 울리는 몸
통
이 작아 소리가 작고, 줄 사이의 간격이 좁아 더 빠른 연주가 가능해요. 또 정악가야금보다 줄이 얇아 더 높은 음을 냅니다. 거문고 거문고는 6개의 명주실을 튕겨 연주하는 악기예요. 줄이 달린 앞쪽 판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