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저"(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곳곳에 설치했어요. 데이터센터에 모인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는 바닷속에 설치된 해저 케이블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지요. 디지털 세상은 거대한 건물과 바닷속 케이블인 셈이에요. 문제는 데이터센터가 뿜는 열입니다. 24시간 쉬지 않고 방출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막대한 ...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빠르지만, 대서양 한가운데 위치한 해저 산맥인 대서양 중앙 해령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40mm씩) 정도로 느리다. 미래 초대륙은 아메리카 + 아시아 = 아마시아 지질학자들은 미래에 판게아가 있었던 자리인 적도를 중심으로 초대륙이 펼쳐질 ... ...
-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배출된 염분은 바다로 섞이면서 주변에 고염분 바닷물이 만들어져요. 고염분 바닷물은 해저 속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주변 바닷물과 섞입니다. 이렇게 섞인 바닷물을 남극저층수라고 해요. 남극저층수는 대기 중의 탄소를 심해에 가둬 기후변화를 늦추는 역할도 합니다. 남극저층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방식으로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공급하고, 2036년까지는 같은 방식으로 서해안 해저 전력고속도로를 건설할 계획입니다.에필로그송전탑과 송전선 건설부터 해야겠 군. 나를 도와준 보답으로 소원을 하나 들어주겠네.” 테슬라의 설명을 들은 제우스가 만족스러워하며 말했어요. “아, 그렇다면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오는 5월 취항할 계획이지. 우리 바다는 물론 전 세계, 심지어 극지까지 모두 누비며 해저 에너지 자원 탐사와 해양 지질 연구를 수행할 거야. 탐해 3호의 활약도 기대해 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양은 10조 t(톤)으로 추정됩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기존의 한정된 화석연료를 대체할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하지만 가스 ... ...
- 넓디넓은 바다 속 보물, 어떻게 찾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개의 음파를 쏜 후, 각 음파가 해저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통해 해저면 아래의 모습과 물체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하죠. 물체가 감지되면, 수중 발굴 조사단은 잠수복을 입고 입수합니다. 물속에선 흡입 기계로 유물을 덮고 있던 진흙을 걷어내요. 이땐 유물이 파손되지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진행한 로랑 포머리 스탠퍼드대 연구원은 “불가사리는 사실상 몸통 없이 머리로만 해저를 기어다니는 셈”이라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불가사리가 보이는 유전적 패턴이 같은 극피동물인 성게와 해삼에도 나타나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구에는 약 34개의 서로 다른 동물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해 설명했다.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은 탄소가 발생한 시설에서 탄소를 포집한 뒤 해저와 같은 지층에 주입해 저장하고 활용하는 기술이다. 김 강사는 생활 속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얘기도 빼놓지 않았다. 에너지 절약은 전기 요금에서부터 드러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 ... ...
- [네컷만화] 4억 5천만 년 전 해양 고생물, 로봇으로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줄기’로 불리는 기관을 사용해 움직였습니다. 하지만 플레로시스티티드가 근육 줄기로 해저 바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움직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플레로시스티티드 화석을 모방한 근육 줄기가 달린 로봇을 디자인했어요. 로봇의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