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홍역"(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들은 SIR 모형을 이용해 1905년 인도 뭄바이와 1665년 영국의 한 마을에서 발생한 홍역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를 정확히 예측했다. SIR 모형에서는 사람의 질병 상태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 현재는 감염돼 있지 않지만 면역력이 없어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개체(S), 이미 감염돼 있고 다른 개체를 ... ...
- [기획] 2022년 안에 코로나 팬데믹 종식된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등장으로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경우입니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들은 소아마비와 수두, 홍역처럼 코로나19 역시 풍토병이 되는 과정 중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오미크론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2022년의 코로나19 상황에 크게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되는 가운데, 과연 2022년은 어떤 한 해가 될까요 ... ...
- 팬데믹 시대, 정의로운 모빌리티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이다. 아메리카 원주민을 거의 멸종 직전까지 몰고 갔던 천연두, 홍역, 티푸스 등의 병원체도 유럽 정복자들에 의해 신대륙에 유입돼 퍼졌다. 20세기 최악의 팬데믹이었던 스페인 독감은 1918년 3월 미국 시카고의 군기지에서 첫 환자가 나온 후에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군을 ... ...
- 위기의 해양동물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바이러스(PDV)가 북극 해빙의 감소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9년 발표했다. PDV는 홍역과 비슷한 바이러스로, 물개의 뇌와 폐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병을 일으킨다. doi: 10.1038/s41598-019-51699-4연구팀은 2001~2016년에 북태평양에 서식한 물개 2530 마리, 이곳에서 죽은 물개 165구와 해달, 바다사자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비롯해 다양한 요소가 고려돼야 한다”며 “실제로 보관온도가 4℃로 냉장보관이 가능한 홍역 백신도 유통상의 문제로 아프리카 지역에는 보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정부가 다양한 형식의 백신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일단 긍정적이라는 평이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RNA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헬라세포를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물론,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을 일으키는 HIV, 홍역, 지카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감염시켰어요. 특히 헬라세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 공헌했어요. 헬라세포가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어 백신의 안전성을 시험하는 데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감염병의 출현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20-2562-8 끝으로 송 교수는 “홍역 바이러스는 백신을 한 번만 맞아도 감염을 93% 예방하지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이처럼 높은 예방률을 얻을 수 없는 바이러스”라며 모임을 줄이고 마스크 쓰기 등 위생 수칙을 일상화하는 삶이 새로운 ... ...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모형이 도움이 된다”고 말해요.감염병 모형은 1766년 스위스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가 홍역 예방 접종이 사람의 평균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이래로 발전을 거듭해 왔어요. 현재 코로나19에 사용되는 감염병 모형은 ‘기초감염재생산계수’를 이용해요. 이는 질병이 최초로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문가들은 비말이 5μm 이하로 작으면 공기감염이 가능하다고 본다. 결핵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수두바이러스가 대표적으로 공기감염이 잘 발생한다.혈액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도 있다. 간세포를 숙주로 삼는 B형 간염바이러스와 C형 간염바이러스, 신생아의 소두증을 야기하는 지카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용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용 생백신을 생산했다. 유정란 배양법이 알려지면서 홍역, 소아마비 등 다른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도 본격화됐다. 그러나 유정란 배양법엔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계란 속 단백질에 과도한 면역반응을 보이는 사람에게는 접종할 수 없다는 점이다. 최근 세포배양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