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jean"(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이름 붙였습니다. 그의 다양한 업적을 인정한 프랑스의 세계적인 수학자 장 디외도네(Jean Dieudonne)는 그의 저서 ‘순수 수학의 파노라마(A Panorama of Pure Mathematics)’에서 군론이라는 역사적인 연구를 이끈 위대한 수학자 21명 중 한 명으로 이임학 교수를 꼽았을 정도입니다. 이 교수는 군론으로 ... ...
-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리니스트도 ‘헷갈리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소리가결코 좋은 게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프랑스 파리 장 르롱 달랑베르(Jean le RONDD’Alembert) 연구소 클라우디아 프리츠 박사팀은 바이올리니스트 10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다. 먼저 스트라디바리우스 5개를 포함해 300년 된 바이올린을 6개, 최근에 만든 일반 바이올린 6개를 ...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높은 점수를 얻은 후보를 선출하는 방법이다. 프랑스의 정치이론가이자 수학자인 보르다(Jean-Charles de Borda, 1733~1799년)가 프랑스 대혁명기에 제안한 방법으로, 불합리한 구제도(앙시앵 레짐)를 타파하고 정당한 시민의 권리를 찾고자 한 프랑스의 질풍노도가 선거제 개선으로 이어진 경우다. 이 ...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재현해 식물에 햇빛을 비춰주면 쥐가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1796년 세네비에르(Jean Senebier)는 녹색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산소를 방출한다는 것을, 소슐(Nicolas-The′ odore de Saussure)은 이산화탄소와 함께 물을 흡수해야만 식물의 질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낸다. 그리하여 광합성의 ...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화법기하학’을 통해 사영(射影)기하학의 시작을 알렸다. 나아가 퐁슬레(Jean Victor Poncelet, 1788~1867)에 의해 이론적 체계가 갖춰졌고, 좌표 평면을 활용한 해석기하학과의 관계 속에서 더욱 발전, 심화됐다. 수학교육에서 기하학이란 유클리드 기하학을 말한다. 19세기 무렵,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이것을 활용해 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인 ‘영의 평균률’도 알아냈습니다. 푸리에(Jean B. Fourier, 1768~1830)는 파동이론의 기초 수학공식을 완성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정리한 것이 바로 헬름홀츠(H.Helmholtz, 1821~94)입니다. 그의 이름은 진동수의 단위(헤르츠, Hz)로 씁니다 ... ...
- 파브르의 곤충기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다.11권의 자연 사랑을 엮어낸 가난한 관찰자장 앙리 파브르(Jean-Henri Fabre, 1823-1915)는 1823년 12월 프랑스의 남부 생 레옹에서 출생했다. 집안이 어려워 3세 때 깊은 산골에 살던 할아버지 댁으로 옮겨가 그곳의 꽃, 풀, 새, 곤충들과 함께 하면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줄곧 ... ...
-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통념이다. 그러나 이는 서양인의 이상적인 체형을 좀더 돋보이게 하는 연출법이다. 즉 진(jean)을 중심으로 서양의 팬츠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소개된 착시 효과이며, 개인의 체형에 따라 신중히 선택돼야 할 문제다.세로줄무늬가 뚱뚱해보인다?모든 디자인은 선의 연속적인 표시에서 시작된다. 선은 ... ...
-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과학동아 l1995년 07호
- 공공연하게 말했으나 사실 그는 은밀히 그의 라이벌이며 수의사인 장 조셉 투쌩(Jean Joseph Toussaint)이 사용한 방법, 즉 중탄산칼륨이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한 기법에 의존해 그 백신을 만들었던 것이다.결국 파스퇴르의 방법, 즉 산소를 이용한 방법으로 탄저병 백신이 생산되기는 했다. 그것은 그가 ... ...
- 아스피린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빌려 공작하여 나오기도 한 경험이 있었다.그는 당시 유명한 화학자 리비히, 파리의 뒤마(Jean Baptiste Andre Dumas) 밑에서 연구하여 역사에 남는 화학자가 되었으나 결국 아버지와는 화해하지 못한 불효자로 남았다. 아마도 아버지가 류머티즘을 앓았어도 아스피린을 발견하지는 못했을 것이다.모든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