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북두칠성"(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랑 별 보러 갈래?기사 l20250305
-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2대 밖에 없는 망원경 중 1대가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저는 이곳에서 시리우스, 북극성, 카시오페이아, 북두칠성, 마차부자리, 오리온벨트 등을 봤는데요. 이렇게 선명하게 별을 볼 수 있는 날은 1년 중에 80일도 안된다고 합니다. 비, 눈이 오거나 날씨가 흐리면 별을 잘 볼 수 없고, 보름달이 뜨면 달빛에 별빛이 눌려 ...
- {어린이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보령 대표님과 이소연박사님을 만나다기사 l20240818
- 지구에서 보는 별과 다르다고 하셨습니다 지구에 있는 대기층 때문에 노랗고 밝은 모습으로 보이지만 우주에서 보면 대기층을 벗어나 북두칠성 7개의 별 모두 색이 다르다고 하셨습니다 이제는 우주에서의 궁금하거나 생활을 질문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제일 힘든 것은 배변활동이라고 하셨습니다 또한 음식을 먹을 때 무중력으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아 많 ...
- 북두칠성은 영원히 북두칠성 모양이 “아닙니다”(약 1분 30초짜리 영상[본제])포스팅 l20240806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흐히히히히힣(본제)지금까지 여러분의 동심을 파괴해 주었습니다.(?)???: 영원히 북두칠성 모양이 아니라매 이건 과거니까 문맥상 안 맞는데???: 두베가 삼중성계고 몇몇 별도 이중성이어서 북두팔성도 아냐ㄷㄷ ...
-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북극성 찾기기사 l20240621
- 북극성은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여 다른 별보다 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북극성을 찾는 방법 1) 북두칠성으로 북극성 찾기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부분의 별 2개를 찾아 연결한뒤 그 거리의 5배 만큼 떨어져 있는 별을 찾는다. 2) 카시오페이아 자리로 북극성 찾기 카시오페이아 자리에서 바깥쪽 두 선을 연장해 만나는 ...
- 북두칠성기사 l20240619
- 야쿠시마에서 찍은 북두칠성 입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떠난 신비로운 섬 "야쿠시마" 캠프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40617
- 밤 9시쯤 붉은바다거북을 보러 갔습니다. 날씨가 맑아서 별이 쏟아지듯 보였습니다. 별똥별도 보았고 북두칠성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주의사항을 듣고 붉은바다거북이가 산란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바다거북이가 모래웅덩이에 알을 낳을 때 다리에 힘을 주면서 그 힘으로 알을 낳는다고 하였습니다. 한번에 1알을 낳고 100개를 1시간 ...
- 별도 움직인다?!기사 l20240109
- 자리로 1초에 19km식 움직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멀어서 수 백 억년이 지나도 충돌하진 않을 것입니다.위에 보시는 사진처럼 북두칠성의 모양도 변합니다. 이것은 별이 움직이는 걸 증명해주죠. 은하의 모양도 변합니다. 바다뱀자리 머리와 가까운 곳에 특이한 모양의 두 은하가 있습니다. 하나는 펭귄 모양의 은하고, 하나는 타원은하입니다. 펭귄 ...
- 평화를 위해 총을 든 사람,안중근에 대해 알아볼께요.기사 l20230214
- 일생을 알아볼께요. 안중근 의사는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황해도 해주(海州)에서 태어났습니다. 가슴과 배에 7개의 점이 있어 북두칠성의 기운에 응하여 태어났다는 뜻으로 아명(兒名)을 응칠(應七)이라 지었으며, 자라서는 자(字)로 사용하였습니다. 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안태훈이며 할아버지는 안인수로 진해현감을 지냈습니다. 할아버지가 미곡상을 하여 ...
- 2022 신나는 여름캠프 후기기사 l20220821
- 유튜브로만 뵈었던 천문대장님의 별자리 강의였습니다.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북극성으로 알고 있던 나는 카시오페이아자리와 북두칠성을 이용해 북극성의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되었고, 다른 곳보다 많은 별이 있는 은하수를 자세히 볼 수 있었습니다. 하루동안 많은 일정으로 몸은 피곤했지만, 다음날 있을 미개방 탐사로 가슴이 설레었습니다. ...
- 이모부할아버지와 별 탐사!기사 l20220530
- 5월 초순에 자오선을 통과합니다. 적경 11h00m, 적위 58°에 위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일년 내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북두칠성은 곰의 허리와 꼬리에 해당하여 그 모양이 국자와 비슷합니다. 이 큰곰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애인인 칼리스토가 헤라의 질투로 곰이 되었다고 한다. 3.작은곰자리 ㄴ천구의 북극을 포함하는 별자리입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