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틀림
말아 올림
얽힘
뉴스
"
꼬임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받으면 수축하는 대신 늘어나는 '스마트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온도가 낮아지면 원래의 길이를 가역적으로 회복했다. 형상변형을 구현하기 위해
꼬임
등 별도의 구조화 작업이 필요치 않아 화학섬유 제조공정 구현도 가능하다. 니팅 기계를 사용해 온도 변화에 따라 기공 크기를 50% 이상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니트 의류를 만들어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 ...
천연물 '세큐린진 B' 최초 합성…분자 광스위치로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겹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연구팀이 액정물질에 파란색 빛을 쬐자 카이랄 액정의
꼬임
주기가 변하면서도 광스위치의 성질이 유지된다는 점이 관찰됐다. 이번에 개발한 광스위치는 파장에 따른 색 변화뿐 아니라 형광의 온·오프도 가능해 형광 탐침자로서 생물학 분야에서도 응용 ... ...
구르고 돌고 회전하는 신개념 ‘소프트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기하학적 구조를 변경하면 행동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
꼬임
의 개수,
꼬임
의 폭, 비튼 방향 등으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며 “두 개의 서로 다른 회전 방향 등을 가진 링봇을 한 공간에 두면 더 복잡하고 정교한 지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복잡한 공간에 여러 형태의 ... ...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여러 관측 지점에서 코로나를 관측한 결과 4분간 발생하는 ‘작은 진폭의 감쇠력 없는
꼬임
진동’을 확인했다. 이는 여러 진동 주기 동안 진폭이 감소하지 않아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나선 모양의 파동 유형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분석 모델링을 적용해 이 진동이 선형 편광이라는 점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데 사용된 분자의 카이랄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비넥타이의
꼬임
각도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나비넥타이 입자가 카이랄성 값에 따라 편광과 다르게 반응하는 것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카이랄성 화합물은 지속적으로 각도 조절이 ... ...
차세대 정보소자 구현할 새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찢지 않으면 정상적인 띠로 만들 수 없는 것처럼 위상물질이 가진 전자구조의
꼬임
역시, 물질의 화학 구조가 아예 바뀌지 않는 한 계속 보존이 된다. 외부 변화에도 안정적인 위상물질의 특성은 두 개의 에너지 띠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일반적인 물질에서는 두 에너지 띠 사이가 ... ...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구조 위상수학으로 해석 성공
연합뉴스
l
2021.08.24
된다. 이 상태에서 카이랄성 물질을 첨가하면 첨가된 물질의
꼬임
방향에 춰 액정의
꼬임
방향이 하나로 통일된다. 연구팀은 이 상태에서 카이랄성 물질을 더 첨가하면 액정에 예기치 못한 형태의 위상학적 결함이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함은 꼬인 방향은 같지만, 회전 각도가 90도와 27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2020.12.05
‘평평한 지구설’이나 엘비스 프레슬리가 아직 살아있다는 이야기 같이 말도 안 되는
꼬임
이나 어불성설에 깊게 빠져드는 경우 역시 나와 결이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 비슷한 열정을 공유하며 소속감을 느끼고 싶다는 욕구가 한 몫 할지도 모르겠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실제로 최근 혼자 ... ...
깨져도 스스로 복구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개발한 소재의
꼬임
실험을 하고 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균열이나 손상된 기능을 스스로 복원할 수 있는 자가 치유 투명 전자소재를 개발했다. 기술을 응용하면 스마트폰 액정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용채 ... ...
양자컴퓨터 단점 극복 ‘위상 양자컴퓨터’ 구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의해 부도체지만 가장자리에서는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다. 일반적인 위상부도체와 달리
꼬임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는 고차원 위상부도체는 이론적 예측만 많고 실제로 명확하게 관측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초전도체 연구의 핵심 요소인 ‘조셉슨 접합’을 활용했다. 조셉슨 접합은 두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