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언
시골말
야언
변말
은어
민속어
지방어
뉴스
"
사투리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온라인 식물 판매 사이트에서 본 구상나무의 광고 문구다. '구상나무'란 이름은 제주도
사투리
로 성게를 뜻하는 '쿠살'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조합이다. 쿠살낭. 잎이 가지에 달린 모양새가 성게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실제로 만져보면 구상나무 잎은 무척 부드럽다. 짧고 뭉툭한 잎에서 신선한 ... ...
[동물do감] 서로 이름 부르며 소통하는 마모셋 원숭이…영장류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것으로 확인됐다. 이름을 정할 때 비슷한 특징의 소리도 사용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사투리
와 유사한 것으로 이름을 배우는 학습 활동이 혈연관계가 없는 마모셋 원숭이 성체 사이에서도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원숭이들이 가족 그룹의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특정한 것을 지칭하는 ... ...
AI로 목소리 분석, 노년층 치매 위험군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높였다. 노년층, 특히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고위험군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정확한 발음,
사투리
발화 등으로 분석에 어려움은 있었지만 축적된 음성 및 멀티모달 AI 기술을 바탕으로 이를 극복했다. 복합지능연구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대화 과제를 중심으로 한 음성 발화 입력을 ... ...
불어가 좋았던 문과생이 음성인식 기술 전문가 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조 대표는 '말소리'에 큰 관심을 가졌다. 지역별로 말소리가 다르다는 점이 재밌어
사투리
를 따라하는 것이 취미였다. 언어별로 억양과 어조가 다른 점이 신기했다. 특히 재밌는 불어 말소리에 푹 빠져 프랑스로 떠나 박사학위를 따고 벨기에 다국적 음성합성 기술 개발 기업인 L&H에서 1년간 ... ...
어르신 일상 대화 분석으로 치매 고위험군 조기 선별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와 신경인지기능검사 앱이 실행중인 태블릿 화면. KERI 제공 노인의 발화는 발음 장애나
사투리
등으로 음성 인식이 까다롭다. 또 난청으로 질문을 제대로 듣지 못해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해 정상군임에도 치매 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연구팀은 청각인지 뇌파 모니터링을 통해 노인이 질문을 ... ...
[인터뷰] 알렉사·클로바 초석이 된 음성인식 AI, 비즈니스가 됐다
과학동아
l
2022.09.17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다양한 감정 표현, 여러가지 억양과 어조,
사투리
는 물론 이제는 애드립도 가능하다니.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말투를 구현하는 기술이 가능한 비결이 궁금했다. 김 대표는 “(대학과 대학원, 기업 연구원으로 20년가량 쌓아온) 경험과 데이터가 기술의 ... ...
"8월 중순 하루확진자 2000명 안팎…감염자 1인당 타인 감염 줄었지만 확진자 많아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두 자릿수로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30일 오전 한 해변에 강릉
사투리
로 된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달 12일부터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최고 단계인 4단계를 3주째 시행 중인 가운데 이 같은 정책을 유지해도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 ... ...
[표지로 읽는 과학]벌거숭이두더지쥐도 ‘
사투리
’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31
보여준다. 게리 르윈 막스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원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
사투리
를 갖는 것은 사회적 유대를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 ...
딱딱한 문어체 글만 잘 읽던 AI, 이젠 구어체가 더 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AI가 이해하기 어려웠다. 구어체 글 분석기술을 좀 더 발전시키면 표준어 문장뿐 아니라
사투리
말까지 이해하는 AI 서비스 개발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6일 위키백과와 법령을 학습하는데 활용하던 문어체 중심의 언어분석 기술을 한층 발전시킨 구어체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05
다른 이유를 보면 두 부족이 과거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사투리
를 지키는 건 문화 유산을 지키는 일이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9호(10.1발행) 과학으로 언어를 지켜라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