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소
삭제
취소
캔슬
말살
소각
소화
뉴스
"
소거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견만 하면 노벨상"…韓 과학자, 암흑물질 '액시온' 찾는 5년 여정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소리가 들리지 않는 주파수 영역은 제외해 나가는 '
소거
법'이다. 액시온의 질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액시온이 광자(빛의 입자)로 변환됐을 때 이 광자가 갖는 주파수로도 표현할 수 있다. 자석으로 매우 강한 전자기장을 구현하면 전자기장을 지나가는 특정 주파수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③PTSD 치료 가능할까…'이터널 선샤인(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규명되고 있다. 지난해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억이 저장되고
소거
되는 원리를 시냅스(신경세포 간 연결) 단위에서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뇌에서 특정한 기억을 떠올리는 데 관여하는 '엔그램' 세포의 시냅스가 물리적으로 기억을 저장한다는 사실을 ... ...
"오류정정 없는 양자컴, 물리 연구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오류를 정정하는 대신 특정 오류를 데이터 후처리를 통해
소거
하는 '오류 완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양자컴퓨터의 데이터를 정제했다. 양자컴퓨터에서 충분히 데이터를 제공하자 고전컴퓨터에서도 양자 시스템의 바닥상태의 특징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 ...
먹방 영상 차단해 식이장애 환자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개발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음식 콘텐츠를 가려서 제공하고 음식이 영상에 등장할 때 음
소거
를 시킴으로써 체계 1에 따른 자동적인 반응을 차단한다. 대신 사용자에게 '음식 콘텐츠를 계속 보시겠습니까?', '음식 콘텐츠는 당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등 의식적인 콘텐츠 선택 및 ... ...
뇌가 공포기억 저장‧
소거
하는 시냅스 변화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원리를 시냅스 단위에서 규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기억의 저장 및
소거
원리가 시냅스 단위에서부터 존재하는 것을 증명했으며 나아가 시냅스의 공간적인 배치와 기억 저장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공포 기억 형성으로 새롭게 ... ...
전기 없이 냉각되는 기판 개발...나비 날개 모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나노 입자를 사용했다. 기판을 만들 때 실리카 나노입자를 섞고 표면의 부분을 부식시켜
소거
하는 방법인 ‘에칭’ 기술을 적용해 나노입자들을 없앴다. 나노입자가 사라진 공간에는 자연히 구멍이 형성됐다. 주기적 격자 구조를 모사하기 위해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도 도입했다. 레이저 ... ...
나쁜 기억 제거해 PTSD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7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공포를 관장하는 뇌의 편도체에서 공포기억이 생성되고
소거
될 때 기억저장 시냅스의 구조가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오랫동안 뇌과학자들은 기억이 뇌의 어떤 부위에 저장되는지 연구해왔다. 1949년 캐나다 신경심리학자인 도널드 헤브는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바로 함수다. 오름차순 정렬의 복잡한 논리 전개를 함수 호출 한 줄로 머릿속에서 간단히
소거
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알고리즘 계의 최종 보스로 평가받는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GOTO 문의 해로움”(Go To Statement Considered Harmful)이란 다분히 논쟁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며 구조적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활발히 기능했다. 이노시톨 대사 효소가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고, 그 결과 기억
소거
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김세윤 교수는 “공포 기억을 없애는 과정은 아직 거의 밝혀지지 않았고, 일부 발견된 기억 조절 요인들도 학습 능력을 함께 조절하는 경우가 많아 약으로 개발하기 어려웠다”며 ... ...
[윤신영의 마이너리티 리포트-3] 어느 뇌과학자의 ‘대학원 제도’ 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적극적 회피를 한 능동적인 쥐들은 공포를 곧잘 잊고 정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공포
소거
’). 적극적 회피를 하지 않고 순응한 쥐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전기 충격을 상상하며 끊임없는 공포에 시달리는 것과 대조적이다. “‘나’ 역시, 뒤에 만 명의 사람이 있는 사람이니까요.” 왜 하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