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쥐 유래 신종 감염병 '꼼짝마'...최대규모 오가노이드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병원체를 실험하는 최초의 실험 모델을 만들었다. 박쥐는 다수의 치명적 바이러스
숙주
라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감염병 발병 기전을 밝히고 신약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영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소장과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 공동 연구팀이 ... ...
"다람쥐, 엠폭스 바이러스 핵심
숙주
일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식용 야생동물이 전통, 생계, 내전, 상업적 수요 등 복잡한 이유로 인기가 높기 때문에
숙주
를 찾아내 사람들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https://doi.org/10.1038/d41586-025-00990-8 ... ...
유산균이 아토피 피부염 완화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인해 조절된 장 상피 세포 유전자와 면역 사이토카인 유전자를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켜
숙주
의 면역 반응을 조절했다. 또 총 혈청 히스타민 농도를 감소시켜 아토피성피부염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완화했다. 연구팀은 "LF216EV가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장벽 기능 회복, 면역 균형 회복, ... ...
DNA와 단백질 만남 장소 싸고 효율적으로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살모넬라 균은 극미량으로
숙주
세포 내부로 감염하기 때문에 기존 ChIP 실험법들로는
숙주
세포안에 있는 살모넬라균 수가 충분치 못해 이 같은 분석이 어려다. 정량적 분석에는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통계 프로그램인 ‘DiffExo’를 썼다. 공동 제1 저자인 박준영 UNIST 연구원은 “개발된 기술을 ... ...
미국서 바이러스 정복 프로젝트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과학자들은 오늘날의 기술로 볼 수 없을 만큼 작아서 세포에 숨어 있는 바이러스,
숙주
세포의 DNA에 유전자를 몰래 넣어 수년간 드러나지 않는 바이러스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바이러스가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바이러스를 특정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AI를 선택했다. 연구자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이들의 공생도 약 1억 년 전 일어난 것으로 보이고 그사이 게놈도 작아졌고
숙주
세포의 단백질과 대사산물에 많이 의존하지만 질소체와는 달리 내생 근류균은 여전히 세포호흡을 통해 자체로 에너지분자인 ATP를 만드는 능력이 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세포소기관으로 보더라도 앞서 ... ...
노벨상 수상자와 협업한 포스텍, AI 유전자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인공 단백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나노케이지(nanocage)'가 주목받고 있다. 바이러스가
숙주
를 찾아 공격하듯 표적 세포에 치료용 유전자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기존 나노케이지는 크기가 작아 담을 수 있는 유전자의 양이 제한적이었고 실제 바이러스 단백질보다 구조가 단순해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박테리오파지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공개했다.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기생하면서 공격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다. 마치 주름진 표면이 펄럭이는 꽃잎처럼 보인다. 이탈리아 에트나 화산에서 연기 고리가 나오고 있다. 파브리지오 빌라 제공 또 다른 사진 '링 마스터'는 4월 ... ...
'박테리아 조준 미사일 칵테일'…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새 사냥법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박테리오파지(이하 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기생하면서 공격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다. 볼리키 교수는 “파지는 박테리아를 조준하는 정밀 미사일”이라며 “건강한 인간 세포는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해로운 박테리아를 표적 삼아 제거할 수 있다”고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지류 하천인 미호강 주변은 과거 습지였을 것"이라며 "소로리 유적에서 주로 벼과 식물과
숙주
관계인 딱정벌레류가 나온 것이 강력한 증거"라고 덧붙였다. 겨울만 날수 있다면 벼가 자라기 좋은 조건이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유물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1만 5000년 전 한반도에 벼가 자생했거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