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뉴스
"
숫자
"(으)로 총 1,447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눈·레이저 자'로 도심 가로수 탄소 흡수량 파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연구를 통해 그동안 숨은 공로자였던 가로수들의 도시 탄소흡수 능력이 구체적인
숫자
로 밝혀져 주목된다. 개발된 기술은 스마트시티의 환경 관리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 관리 부서는 이 기술로 얻은 가로수 탄소지도를 활용하여 어느 지역에 나무가 얼마만큼 탄소를 ... ...
우주 난제 물질-반물질 비대칭, '중입자'에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조건'을 제시했다. CP 위반은 그중 하나다. 우주에 존재하는 다양한 중입자의 특성을
숫자
로 나타낸 '바리온 수'의 합이 보존되지 않는다는 '바리온 수 위반', 초기 우주가 열평형 상태에서 벗어나 있었어야 한다는 '열평형 이탈 조건'도 입증돼야 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표준 우주론 ... ...
간단하게 '양자 난수' 생성…양자컴퓨터 실용화 앞당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원리를 이용해 생성된 '완전히 예측 불가능한 진짜 무작위(random)
숫자
'로, 이
숫자
가 있어야 양자컴퓨터 기술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게 작동한다. 슈스터 연구원팀의 논문은 이런 장벽을 낮춰 단순한 양자회로만으로도 기존의 복잡한 회로와 구분이 어려운 수준의 무작위성을 구현해냈다. 이 ... ...
"1960년대 고전컴퓨터와 현재 양자컴 닮아…오류정정 5년간 비약적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오류가 발생했을 때 정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큐비트 수를 확장하면서 겪는
숫자
의 횡포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다. 고전컴퓨터는 정보를 복제해 두고 나중에 검증하는 방식으로 계산 오류를 거의 완벽히 정정할 수 있지만 큐비트는 정보를 확인하는 순간 양자중첩 상태가 사라져 복제가 ... ...
[과기원NOW] 주기율표 15족 원소로 산소 활성 반응 메커니즘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반응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무게 등 특성이 다른 각 주족원소마다 반응성을
숫자
로 정확히 비교하는 데도 성공했다. 황 교수는 "주기율표상 원소 특성이 반응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며 "값싼 원소로도 고성능 산소활성 촉매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 ... ...
수학자 비밀 모임서 AI 수학 실력 테스트 결과에 '경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정확하면서도 재치 있는 해답을 제시했다. 오노 교수는 "o4-미니는 마지막에 '도출한
숫자
는 내가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인용은 필요없다'고 말했다"며 "결국 수학자들이 o4-미니가 풀 수 없는 10가지 문제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수학자들은 AI가 지난 1년 동안 얼마나 성능이 높아졌는지에 대해 ... ...
의대교수협 "의대 정원 감축 검토하는 장관 원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개선할 수 있는 장관을 요구했다. 의대교수협은 “의료 인력 수요와 공급은 단순
숫자
가 아니라 의대 및 교육병원에서 양질의 교육이 가능한지 검토해 정해야 한다”며 “인공지능(AI) 발전과 진료 시스템 변화에 따라 의대 정원 감축까지도 유연하게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2024~202 ... ...
양자역학 원리로 완전한 무작위성 구현…'진짜' 난수 생성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무작위
숫자
를 생성했으며 한번 작동에 207초~327초가 소요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무작위
숫자
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카부리 연구원은 "기초과학의 최전선에 있으면서 동시에 유용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5-09054- ... ...
아기 때 기억은 살아있다…불러오지 못할 뿐
과학동아
l
2025.06.07
올 겁니다. 좀더 기억을 단단히 붙들어 매는 방법은 없을까요. 성인들 중 10분 동안 100개
숫자
를 순서대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연관성'을 활용한 기억법으로 단기간에 많은 기억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억법으로 '기억의 궁전'이 있습니다. 우리가 익숙한 장소를 활용해 ... ...
韓 연구팀, 정확한 '양자거리' 최초 측정…양자컴 오류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6
그 자체로 단위가 있는 물리량이 아니라 해석을 통해 물리량을 파악할 수 있는 일종의
숫자
배열"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양자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고체 물질인 흑린 안에 있는 무수한 전자들 사이의 위상차를 실험적으로 계산했다. 양자역학에서 전자는 파동의 형태로 진동한다. 이때 특정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