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pectrum
분광
스펙트럼분석
분석
스팩트럼
연속체
뉴스
"
스펙트럼
"(으)로 총 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 환자 불안·공포 뇌 회로 비밀 규명…PTSD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8
IBS 박사후연구원, 김서영 IBS 박사후연구원(왼쪽부터).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환자에게 동반되는 불안 및 공포 장애의 원인을 뇌 회로 수준에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ASD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은준 ... ...
스마트폰 AI로 자폐 선별, 기존 검사보다 정확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교수는 “AI에서 제시한 표준화된 검사 지표인 음성 과제를 시행하면 누구나 쉽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전문의 진단 전에 부모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검사 도구인 셈”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npj 디지털 의학’ 최신호에 실렸다.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인간 뇌 진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연구원은 "연구결과는 사람의 뇌를 독특하게 만드는 동일한 유전적 변화 중 일부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처럼 인간의 신경 다양성을 높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https://doi.org/10.1093/molbev/msaf177 ... ...
AI 분석으로 자폐증 감각 이상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분류했다고 설명했다. 정민영 한국뇌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복잡한 생물학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며 “AI 기술이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중개정신의학'에 1일 ... ...
초기 우주 닮은 은하 외곽서 별 탄생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외곽에서 발견된 원시별 분출류와 제트. 왼쪽은 ALMA 관측으로 얻은 일산화탄소 분자의
스펙트럼
선 방출 영상 이미지. 빨간색과 파란색 등고선은 각각 우리로부터 멀어지거나 다가오는 고속 제트를 나타낸다. 오른쪽은 더 느린 속도의 분출 제트 분포를 보여준다. 노란색과 녹색 사각형은 이번 ... ...
쥐 뇌에서 ‘사회적 선택 스위치’ 발견…자폐·조현병 이해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8.27
뇌 신경학적 토대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조현병 환자들의 뇌, 자폐나 조현병 등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서 PV 인터뉴런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이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사회적 선택 스위치’로서의 PV 인터뉴런의 역할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신성 폭발 전 내부 구조 드러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8.23
팔로마천문대의 천체 관측장비인 '츠비키 순간포착 시설(ZTF)'을 이용해 포착한 2021yfj의
스펙트럼
을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2021yfj의 깊숙한 내부 층이 드러난 것으로 확인됐다. 규소와 황 등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깊숙한 내부를 최초로 관측하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2021yfj의 외부층이 ... ...
유해가스·초미세먼지·병원체 한번에 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SERS 기술은 시료에 빛을 쏘았을 때 산란되는 빛을 분석해 분자의 고유한 진동
스펙트럼
을 통해 물질의 정체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도출된 데이터는 연구팀이 고안한 디지털 카운팅 기법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해 극미량의 병원체까지 검출하는 데 쓰인다. 포집부터 분석까지 150분 이내에 ... ...
장내 세균, 자폐증 치료 열쇠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8.18
임신혁·김태경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교수, 박철훈 생명과학과 박사 연구팀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병에 관여하는 장내 미생물과 면역 반응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ASD는 사회성, 의사소통, 행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발달장애다. 어린이 30명 중 1명이 앓을 ... ...
공작새 깃털로 레이저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통해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 '구조색'을 낸다. 선명한 파란색과 녹색, 무지갯빛
스펙트럼
등 색소로는 구현하기 힘든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레이저는 보통 공진기라는 장치 내에서 빛을 계속 반사시키며 증폭·정렬해 구현된다. 파장과 진행 방향 등이 동일한 광자를 계속 생성하는 방식이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