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뉴스
"
시스템
"(으)로 총 8,6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성 지시 따라 수술…돼지 담낭 제거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언어 지시로 받아들이며 오류까지 스스로 수정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자율 수술
시스템
이 실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자율 수술 기술이 널리 확산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수술 로봇이 더 많은 상황을 학습하고 능동적으로 판단하려면 ... ...
인류 최초 관측 'M87 블랙홀' 찌그러진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고 말했다. 이어 "EHT에서 도입하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원경(KVN) 방식의 관측
시스템
이 확산되면 더 정밀한 블랙홀 이미지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51/0004-6361/20255523 ... ...
"한국 우주개발 전략, 제조업·모빌리티 분야 강점 살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루나 게이트웨이(Lunar Gateway)'에 참여하고 있다. 이 계획에서 캐나다는 차세대 로봇 팔
시스템
분야에 핵심적으로 기여한다. 17m가 넘는 대형 팔을 비롯해 정밀 조작용 소형 팔 등과 관련한 설계 및 제작 업무를 맡아하고 있다. 이는 우주 공간에서 이뤄지는 미션 중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캐나다가 ... ...
AI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 플랫폼 개발…학생 주도 '과학 소통'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기자 2bottle9@donga.com 독성시대 IN 과학관의 모든 프로그램과 수업은 모두 서울시립대 환경
시스템
독성학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들이 직접 기획·진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연구실을 이끄는 최진희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독성학은 우리의 일상과 연결된 실용적인 과학"이라며 "독성학이 ... ...
이노스페이스, '한빛-나노' 상단부 단인증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우주공간에서 고객의 위성을 안정적으로 궤도에 진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시스템
이다. 발사체의 최종 임무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빛-나노 2단에는 이노스페이스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액체메탄 로켓엔진이 적용됐다. 국내 민간 발사체 기업이 독자기술로 비행 가능한 상단부 ... ...
폭염에도 버티는 식물의 단백질 조절, 분자 수준에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유전자 조절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조혜선 식물
시스템
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식물이 고온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과 그 역할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5월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더 플랜트 셀'에 공개됐다. 생물은 ... ...
"대기오염 입자 줄어들면 폭염·습도 위험 더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고해상도 대기 재분석 자료와 지구
시스템
기후모델인 'CESM2-LE' 등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1961년부터 2020년까지 약 60년간의 상대습도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어로졸 입자가 햇빛을 산란시켜 지표 온도를 낮추고 이에 따라 증발량이 ... ...
"서류 간소화? 추가 설명 계속 필요"…출연연 시범평가 한창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몇 개월 동안 기관이 시간과 인력을 들여 평가를 준비했고 다음 평가를 준비하는
시스템
을 마련했다"며 "하지만 정부가 바뀌며 새로운 과기정통부 장관이 올 예정이기 때문에 또 다시 새로운 평가를 준비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 ...
"NASA 제트추진연구소처럼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핵심 인력 키우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이런 역량이 뒷받침되는 기관은 흔치 않다"고 덧붙였다. 학생들은 재사용 발사체
시스템
, 로켓 자세 제어 기술부터 로봇팔 기술, 빅데이터 기반 우주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최성임 GIST 기계공학부 교수·G-STAR 센터. GIST 제공 G-STAR 센터의 롤모델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 ... ...
올 여름 지구 자전 빨라져 하루 시간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관리하는 기관들은 2035년부터 윤초를 추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전자상거래, GPS, 금융
시스템
등 매우 정밀한 시간 동기화가 필요한 분야에서 윤초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갑자기 1초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다만 올 여름 지구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