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섬유
신경
뉴스
"
신경섬유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a) KAIST와 인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OLED 집적 광유전학용 유연 뉴럴 프로브 모식도, (b) 다중 레이어 상세 구조, (c) 마이크로 OLED 개별 픽셀 구동 시연 장면, (d) 마이크로 OLED의 전기광학적 특성 그래프.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유연한 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해 뇌에 삽입 ... ...
입속에 난 상처는 왜 흉터가 안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입속 점막에 난 상처는 얼굴이나 팔다리 등 다른 부위에 난 상처보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덜 형성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얼굴이나 팔다리 등 밖으로 노출된 피부에 생긴 상처와 달리 입속 점막에 생긴 상처는 치유 속도가 빠르고 흉터도 거의 남지 않는다. 미국 과학자들이 그 이유를 밝혀냈 ... ...
계단 오르는데 몸이 가벼워졌다… ‘눈치 빠른 로봇’으로 향하는 의료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소아용 보행 보조 로봇 '밤비니'가 가동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지난 17일 찾은 김승종 고려대 의공학부 교수 연구실. 착용하기에 불편고 언뜻 봐도 무거워 보이는 보행 보조 로봇 ‘마이오수트(Myosuit)’가 눈에 들어왔다. 하체를 감싸는 벨트를 착용한 뒤 등에 배터리와 구동 모터가 담 ... ...
[재생의료 최전선]④ "약물의 인체 테스트 대체하는 '오가노이드' 고도화 선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조승우 세라트젠 대표이사가 5월 13일 연세대 신촌 캠퍼스 세라트젠 사무실에서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문세영 기자. [편집자주]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이 지난 2월 시행되면서 임상시험 목적으로만 허용되던 첨단재생의료가 치료 목적으로 활용 가능해졌다. 정부가 첨단바이오 기 ... ...
연세암병원, 국내 유일 중입자치료기 하반기 '풀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최진섭 연세암병원 병원장이 17일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연세암병원 하반기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문세영 기자. 연세암병원이 올해 하반기부터 중입자치료기를 완전히 가동한다. 가동을 계기로 전 생애주기 암 케어시스템을 구축한다. 신약 임상, 인공지능(AI) 활용 등을 통한 암 치료 고도화 ... ...
알츠하이머병 감별하는 '족집게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핵심 물질이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혈액으로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혈액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을 감별하고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 ...
근육 마비되는 루게릭병, 새 치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국내 연구진이 루게릭병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일으키는 여러 생리적 변화를 규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일으키는 여러 생리적 변화를 규명했다. 발견된 기전을 바탕으로 새로운 루게릭병 치료 전략도 제시했다. 한 ... ...
폭음 억제 신경세포 찾았다…알코올 의존증 치료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질 E. 마틴 미국 매사추세츠대 의대 교수. Faith Ninivaggi 제공. 술을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행동을 억제하는 뇌 신경세포가 확인됐다. 알코올 의존증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질 E. 마틴 미국 매사추세츠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뇌에서 ‘폭음 억제’와 연관된 신경세 ... ...
진짜 뇌 같은 3D프린팅 인공 뇌 개발…알코올 주입하자 치매유발 단백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관련된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증가했다. 백질 영역에서는
신경섬유
가 휘거나 부풀어 오르는 변형이 나타났다. 신경 신호의 흐름도 눈에 띄게 둔해졌다. 알코올로 인한 뇌 영역별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시각화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조동우 교수는 ... ...
대마 성분 'CBD'도 마약…"산업용으로 허용한다지만 장벽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한 연구자가 대마밭에서 대마초를 자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달 29일 대법원은 ‘표준통관예정보고 발급거부처분 취소소송’에 관한 상고심에서 CBD를 포함한 대마초 칸나비노이드 성분이 마약류인 대마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CBD 성분이 든 제품 수입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