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뉴스
"
안정하기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15분마다 전기요금 바뀌는 핀란드…막힘없는 '에너지고속도로'를 가다
과학동아
l
2025.08.23
과학동아, Fingrid 제공 핀란드는 국토의 약 73.7%가 숲으로 덮여 있고 호수 18만 7888개가 그 사이를 드문드문 수놓는 '숲과 호수의 나라'다. 파리협정에 의해 국제사회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 '0'을 달성해야 한다. 한국을 포함한 국가들이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가 ... ...
이재명 대통령 "R&D예산 정상 증가 추세 복귀…연구자 개인이 보상받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내년도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예산과 관련해 "35조 3000억원 정도의 예산이 편성됐다"며 "(기존 대비) 20%에 육박하는 증가율을 보이 ... ...
단일 세포 내 '단백질' 측정 기술 등장…정밀의학 지름길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단일 세포 수준에서 단백질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개별 세포 하나하나를 살피는 일은 복잡하지만 필요한 일이다. 특정 단일 세포에 유전적·기능적 이상이 생기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단일 세포 수준에서 단백질을 살필 수 있는 기술이 ... ...
과총 "내년 역대 최대 규모 R&D예산 배분·조정안 환영"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김민수 과총 회장 직무대행. 과총 제공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은 정부가 22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확정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R&D) 예산 배분·조정안’에 대해 이날 환영의 뜻을 밝히는 성명을 공개했다. 과총은 "이번 예산안은 역대 최대 규모로 △인공지능·에너 ... ...
내년 R&D예산 역대 최대 35.3조원…개인기초연구, 1만1827개→1만5311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내년 R&D 예산이 35.3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의결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내년 R&D 예산이 역대 최대 규모인 35.3조원으로 의결됐다. 이중 주요 R&D 예산은 30.1조원 규모다. 지난해에 비해 21.4% 늘었다. 기초연구 예산은 14.6% 증가했고 개인 기초연구 과제 또한 지난 정부의 R&D 예산 삭감 전이던 2023 ... ...
헤모글로빈, 퇴행성 뇌질환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사람 헤모글로빈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 위키미디어 제공 피를 붉게 하고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로 잘 알려진 '헤모글로빈'이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이 있다는 점이 규명됐다. 헤모글로빈의 새로운 기능이 밝혀진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창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소금쟁이 닮은 로봇 세계 최초 개발…15년 기초연구 결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22일 공개되는 사이언스 표지. 과기정통부 제공 박사 과정 시절부터 15년간 꾸준히 소금쟁이의 물 위 움직임을 연구해 온 국내 연구자가 소금쟁이를 모사한 초소형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채택될 정도로 혁신적인 연구다. 가시적 성과 측정이 어렵고 결 ... ...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손상된 심장 세포 회복 도전…"한국 세포주·임상 역량이 뒷받침"
동아사이언스
l
2025.08.22
조셉 우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석좌교수가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서울성모병원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환자의 심장에 직접 이식해 손상된 심장 세포를 회복시키는 프로젝트에 도전한다. 앞서 무릎 관절에 적용된 면역 거부 반응 최소화 iPSC 이식 연구를 뛰어넘 ... ...
우주서 방향 잃지 않는 로봇 나침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로봇공학과 연구팀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에임스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이 워크숍 종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IST 제공. 위·아래 구분이 없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방향을 잃지 않는 로봇 나침반 기술이 개발됐다. 우주뿐 아니라 공항, 병원, 창고 등의 공간에서도 ... ...
“태양열만으로 바닷물을 식수로"…UNIST, 차세대 담수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왼쪽부터 소우럽 차울레 박사, 장지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김성도 박사.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외부 전력 없이 태양열만으로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는 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비용 부담이 적고 장치의 내구성까지 높아 개발도상국의 물 부족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