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울
뉴스
"
얕은 곳
"(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손상없는 지방간 유사장기 개발…"신약 효과 확인에 최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3.16
위치별 경도를 정량 측정할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먼저 지방이 쌓인
곳
에서 강한 빛이 나오도록 오가노이드에 형광염료를 염색해 위치를 찾았다. ... 계속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배양액 내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얕은
깊이만 누르기 때문에 간 조직에 손상을 전혀 주지 않는다. 이번에 ... ...
[사이언스영상] 대왕고래보다도 큰 산호
SEIZE
l
2024.12.07
에릭 브라운 내셔널 지오그래픽 프리스틴 시즈 탐사팀 연구원은 "근처
얕은
곳
에 있던 산호초는 바닷물이 따뜻해지면서 많이 사라졌다"면서도 "약간 더 깊은
곳
에서 이렇게 크고 건강한 산호 오아시스를 발견한 건 일종의 희망의 신호"라고 말했다. ● 씨즈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instagram.com/reel ... ...
미끌미끌한 미역 출생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23
현황을 조사했습니다. 울릉도에서는 수심 깊은
곳
에서 자란 미역과
얕은
곳
에서 자란 미역이 다른 형태로 성장하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수심 40m에서는 넓적한 형태의 넓미역을 확인했고 수심 50m 근처에서는 구멍이 송송 뚫린 구멍쇠 미역류를 발견했어요. 특히 구멍쇠미역류는 이전까지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발생하거나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도시
곳곳
에 설치된 트랩 중 하나에서 2주 연속 매일 5마리 ... 중 OECD 회원국은 한국과 멕시코, 코스타리카 세
곳
입니다. 원래 한국에서는 매년 5~10월 휴전선 인근 ... 연관관계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모기 유충은
얕은
담수 웅덩이에 서식하죠. 그래서 비가 많이 ... ...
동해에 뜬 '대왕고래'…과학자들이 말하는 영일만 유전 개발
과학동아
l
2024.08.24
후보지는 영일만에서 38~100km 떨어진 해역이다. 이
곳
은 깊이 1km 이상의 심해로 아직까지 한반도 인근 ... 5일 과학동아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석유는 과거
얕은
바다에 살던 생물이 죽어 화석이 된 것이므로 ... 심해나 극지방처럼 과거에 탐사하지 않았던
곳
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 현재 ... ...
그 많던 맹꽁이는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필요한 물 환경을 변화시킵니다. 맹꽁이는 장마철에 일시적으로 생기는
얕은
웅덩이에 알을 낳기 때문에 비가 너무 안 내리면 알을 낳을 수 없고 비가 ... 비율이 높다. State of the World’s Amphibians 20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살
곳
이 없어진다 양서류가 멸종위기에 처한 또 다른 이유는 서식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가마우지까지 출몰했다. 녀석은 수심이 깊은
곳
에서 잠수해 사방을 휘저으며 빠르게 헤엄쳤는데 아마도 물고기를 사냥하는 것 같았다.
얕은
곳
에 서서 노리고 있다가 지나가는 물고기를 콕 집어 잡는 백로는 사냥효율에서 도저히 경쟁이 안 될 것 같았다. 최근 개체 수가 많이 늘어난 가마우지를 ... ...
뉴욕도 한국도 위험하다...예측할 수 없어 피해 큰 '판 내 지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태평양판, 유라시아판, 필리핀판이 만나는
곳
에 위치해 지진이 자주 일어난다. 이번 뉴욕 ... 지진은 지표면에서 15㎞ 깊이에 불과한 비교적
얕은
곳
에서 발생하는 반면 판 경계지진은 최대 660㎞에 이를 정도로 깊은
곳
에서 발생한다”고 말했다. 영국 기후학자인 빌 맥과이어는 ‘BBC 사이언스 ... ...
"지구 초기 생명체 대량 멸종 원인, 동시다발적 지각활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비슷한 양상의 퇴적암에서 발견한 삼엽충 화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곳
에서 발생한 지각 활동은 신스크 사건과 같은 시기인 약 5억1300만년 전으로 ... 기후변화가 일어났다"며 "지각판이 부딪치며 생명체가 많이 사는
얕은
바다의 영역이 줄어든 것도 급격한 생명체 멸종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 ...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페루세투스’가 알려주는 것
과학동아
l
2023.11.25
페루에서 발견된 고대 고래 약 3900만 년 전 신생대 에오세기의 페루. 이
곳
을 채웠던
얕은
바다 바닥을 헤엄치다 보면 여러분 위로 지나가는 거대한 그림자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지구에서 살았던 가장 무거운 동물 고대 고래 ‘페루세투스 콜로서스(Perucetus colossus)’의 그림자 말이다. 엘리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