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자형
유전형
성형
뉴스
"
유전자형
"(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국내 투약 본격화…"사전 뇌MRI 검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한다. 또 투약 전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 위험을 알기 위해 아포지단백E(APOE)
유전자형
검사와 뇌 MRI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가이드라인의 제1저자인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는 "임상현장에서 레카네맙(레켐비)의 올바른 사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바 없었다. 연구팀은 먼저 다양한 집단에서 얻은 98명의 유전자를 분석해 AMY1이 30가지
유전자형
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68개 고대 인류의 유전자를 분석해 AMY1을 식별했다. 분석 결과 고대 인류는 농업을 시작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세포당 평균 4~8개의 AMY1 사본을 보유하고 ... ...
'초콜릿의 역사'…아마존 카카오, 언제 어떻게 중남미로 퍼졌나
연합뉴스
l
2024.03.08
Reports/Claire Lanaud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페루 아마존에서 유래한 카카오나무
유전자형
은 에콰도르 발디비아 해안에도 존재했으며 콜롬비아 카리브해 연안의 유물에서도 발견됐다. 이는 각 문화권이 오랫동안 접촉하면서 카카오나무가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고, 여러 문화권이 이를 ... ...
사람마다 아픔 강도 다른 이유, 뇌와 유전자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연구를 통해 통증처럼 여러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유전자형
과 뇌 활동량으로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연구 패러다임을 구축했다”며 “MRI 뇌 영상과 타액 수집을 이용한 새로운 통증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아라비카' 커피 풍미가 깊은 이유…기후변화 견딜 품종 위한 유전자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원두의 염기서열을 재구성했더니 아라비카 원두는 종내 다양성이 낮은 편이었다. 일부
유전자형
에서 다양성이 증가했는데 이는 티모르섬에서 발견된 돌연변이인 티모르종과 교배되면서 생긴 결과로 확인됐다. 크고 튼튼한 티모르종 원두와 결합한 아라비카 원두 종은 환경 적응력이 높아졌다. ... ...
"락타아제 부족한 성인, 우유 마시면 당뇨병 위험 30% 감소"
연합뉴스
l
2024.01.23
수준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우유 섭취가 락타아제
유전자형
에 따라 사람들의 장내 미생물 구성과 혈중 대사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락타아제 분비가 부족한 사람들의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etabolism, ... ...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측정 기술력과 유전체 선발의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임목개량의 중요한 주제인
유전자형
과 환경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도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선발된 나무의 유전적 특성 평가에서 나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실제 생장을 예측하는 기술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 ...
뇌 '기억 중추' 해마, 어른 되어도 손상 복구 가능할까
연합뉴스
l
2022.07.22
공통으로 성체 신경발생의 이상이 나타난다. 그런데 인간의 해마에는 가소성(可塑性ㆍ
유전자형
발현이 변하는 성질) 좋은 다수의 미성숙 뉴런이 평생 존재한다는 걸 미국 과학자들이 입증했다. 이 발견은 '성체 신경발생'을 둘러싼 오랜 논쟁을 끝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성체 ... ...
[르포]멸종위기 토종 '산개나리', 100년전 처음 발견된 곳에서 '10년째 복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8배 증가했다. 연구자들은 전국에서 수집한 산개나리 중 북한산 집단에서 유래한 총 32개
유전자형
을 확보해 다시 북한산 복원지에 심었다. 식물의 생육 정도를 나타내는 개화량 역시 2015년 이전까지 100개 미만이었는데 2019년 약 280개, 지난해에는 약 300개로 늘고 있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아직 ... ...
법원 "생명과학Ⅱ 20번 명백한 오류" 수험생 승소…강태중 평가원장 사의 표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이 사건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을 사용해 동물 집단의 개체 수를 계산할 경우 특정
유전자형
의 개체 수가 음수로 나타난다"며 "동물 집단의 개체 수가 음수일 수 없어 이 문제에는 주어진 조건을 충족하는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 명백한 오류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수험생들은 피고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