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핵 영상 AI가 판독해 실시간 노화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증감과 NMP 점수가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근육이 손상된 쥐는 손상 직후 노화 근육
줄기
세포가 증가했다가 조직 재생과 함께 점차 사라졌다. 관절염 모델 생쥐의 연골 세포에 NMP를 적용했을 때, 노화 세포가 건강한 쥐에 비해 10배 가량 더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골관절염이 ... ...
"7년이면 실험실에서 정자·난자 만들어…동성커플 자녀도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제시하는 국제
줄기
세포학회(ISSCR)는 현재 생식 목적의 유전체 교정이나 인간
줄기
세포에서 유래한 생식세포 사용을 불허하고 있다. 인간이 동성 간의 생물학적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되면 윤리적·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영국 인간생식배아관리국(HFEA)은 실험실에서 배양된 난자와 정자의 ... ...
[시민과학풀씨]③ 야생의 노린재는 어떤 냄새가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7.06
회양목이 모인 곳에서 큰광대노린재를 잇달아 발견했다. 큰광대노린재는 회양목의
줄기
와 잎 등에서 즙을 빨아먹는다. 성충은 성인 손톱만 한 크기로 금색과 녹색, 적색이 어우러진 화려한 무늬가 특징이다. 탐사대원들은 털이 있는 진한 회색의 꽈리허리노린재, 연갈색의 넓적배허리노린재도 ... ...
[재생의료 최전선]⑥ "바이오에서 뒤처진 한국…오가노이드가 성장 동력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때문에 기존
줄기
세포 치료제에 준하는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 오가노이드는
줄기
세포와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특화된 규제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식약처와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식약처가 주관하는 ‘의약품 등 안전성 평가를 위한 ... ...
성인 뇌에서도 새 신경세포 자란다…기존 통념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세포 특성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줄기
세포에서 미성숙 뉴런에 이르는 다양한 발달 단계의 신경세포들이 성인의 뇌에서 확인됐다. 이들 세포 중 다수는 분열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미성숙한 세포인 '신경 ... ...
구본경 IBS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 외국인 회원 선출…국내 세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이어 세 번째다. IBS는 구 단장이 EMBO 외국인 회원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구 단장은
줄기
세포 기반의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와 유전자가위 기술을 결합해 개별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기능을 추적하는 모자이크 유전학(mosaic genetics) 연구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1964년 설립된 EMBO는 유럽 ... ...
[재생의료 최전선]⑤ "배아
줄기
·성체
줄기
세포 장점 모아 무릎 연골 재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뛰어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김 대표는 “AMT는 성체
줄기
세포와 배아
줄기
세포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세포원"이라며 ”에이템즈는 무릎 연골 치료를 넘어 퇴행성 추간판과 성장판 손상 등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고 말했다. 에이템즈 세포 GMP 시설에서 연구자가 ... ...
'해조류 수건'으로 서로 몸 긁어주는 범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8년부터 범고래의 사냥 및 사회적 행동을 관찰·분석하고 있다. 범고래들은 갈색 해조류
줄기
의 끝부분을 떼어내 물고 동료에게 접근해 해조류를 둘의 몸 사이에 끼우고 몇 분씩 여러 번 몸을 비볐다. 확인 결과 해조류는 다시마의 일종인 불 켈프(Bull Kelp, 학명 Nereocystis luetkeana)로 연구팀은 이 ... ...
인간세포 섞인 심장, 돼지 몸에서 키워…'키메라 장기'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대해 라이 교수는 지난 13일 ‘오가노이드 디벨로퍼 컨퍼런스’에서 “기술적으로 인간
줄기
세포에서 뇌 신경세포와 생식세포 관련 유전자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기술적인 방법을 동원해 안전성을 높인 키메라 장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 ...
인슐린 주사에서 해방될까…중증 1형 당뇨,
줄기
세포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20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지미슬레셀은 사람의
줄기
세포를 췌장 내 인슐린 분비세포인 췌도세포로 분화시킨 뒤 체내에서 인슐린을 자율적으로 분비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주입된 세포는 간에 정착해 혈당 농도에 따라 인슐린을 분비한다. 버텍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