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발
스타트
기점
뿌리
근원
기원
출처
뉴스
"
출발점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각제 LSD, 원자 2개 바꾸니 조현병 치료제 후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환각제인 리세르산디에틸아미드(LSD)와 유사한 합성 분자인 JRT로 처리한 쥐 대뇌 피질 신경세포. JRT는 기존 환각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 없 ... 치료 잠재력이 매우 높다"며 "JRT 개발은 LSD 같은 환각제를 더 나은 의약품으로 만드는
출발점
"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73/pnas.241610612 ... ...
기억마저 복제한 존재, 진짜 '나'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5.03.15
존재 의미에 대해 깊이 갈등하는 주인공 미키는 우리에게도 많은 질문거리를 던진다. 그
출발점
은 복제인간이란 기술이 현실에서 과연 실현 가능한지의 문제다. 미국 국립 인간유전체 연구소(NHGRI)의 정의에 따르면 복제 기술은 과학적 방법으로 세포, 유기체, 또는 DNA 서열 등 생물학적 개체의 ... ...
의대증원에 묻힌 '진료면허제' 의정갈등의 또다른 '뇌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있다. 서울의 한 의원에 취업한 사직 전공의는 “정부가 진료면허제 도입을 검토한
출발점
은 의정 갈등이었다”며 “환자 안전을 도모하겠다는 목적보다는 의료계를 압박할 목적으로 내놓은 카드여서 제도의 취지부터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진료면허제가 효용성이 있을지에 대한 진지한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탈모샴푸 '품절대란' 비결부터 MZ 과학자와 소통하는 방법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연구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반추합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출발점
은 연구기관의 홍보팀에서 작성한 ‘보도자료’로 불리는 ‘프레스 릴리즈(Press release)’입니다. 먼저 연구기관이 내는 보도자료를 살펴봅니다. 보도자료 하나가 나오기까지 연구기관 홍보팀과 ... ...
플라스틱 생산 감축 두고 반쪽 난 세계'…국제협약 최종 회의 결과는?
과학동아
l
2024.11.24
UNEA)에서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들기로 논의한 게
출발점
입니다. 협약의 계기는 더 이상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 오염 문제를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국제사회의 공감대였습니다. 썩지 않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해양을 오염시키면서 태평양에는 '플라스틱 섬'이 ... ...
[알립니다] 국내 최초 과학기술 보도자료 시상한다…12월 12일 '제5회 사이언스얼라이브'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제공 과학 커뮤니케이션은 연구자들의 활동과 사회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합니다.
출발점
은 연구기관의 홍보팀에서 작성한 ‘보도자료’로 불리는 ‘프레스 릴리즈(Press release)’입니다. 연구 현장과 지속적으로 접점을 유지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들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최근 유튜브를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② 지질연의 달 자원 탐사 '눈높이 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6
관해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달 자원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달이 우주 기지 건설의
출발점
이기 때문"이라며 "인류의 목표는 화성 기지 건설이지만 가는 데만 7개월이 걸려서 연구에 장벽이 있으므로 지구와 가까운 달에서 먼저 우주 자원을 활용해 기지도 만들고 식물도 키워보면서 우주에서 오래 ... ...
박민수 차관 "의료대란 책임 느껴"…경질론엔 함구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대해 누군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차관이 용퇴하는 게 의료대란 해결
출발점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박 차관은 “공무원은 직분을 맡은 이상 직무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직위에 있는 한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서 의원이 재차 사퇴 의사를 묻자 박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행동을 수행하는 초파리의 뇌 지도는 다양한 생물종의 뇌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밝힐
출발점
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완성된 초파리 뇌 지도는 지금까지 작성됐던 뇌 지도 중 가장 큰 규모다. 202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초파리 애벌레에서 3016개의 신경세포와 54만8000개의 시냅스를 ... ...
"기후·건강·주식 예측의
출발점
은 미적분"…'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 펴낸 김재경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9.18
김재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CI & KAIST 교수. 수학동아 제공 "이 책은 제자에게 건네는 18년 늦은 답입니다." 지난 5일 첫 발행된 뒤 일주일 만에 베스트셀러에 오른 '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의 저자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를 직접 만났다. 책에 관한 화두를 던지자 이처럼 언뜻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