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슬라이드
뉴스
"
투명화
"(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교수는 현재 광유전학 외에 완전히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2013년에도 ‘조직
투명화
기술’을 발표하며 또 한 번 생명과학계의 판을 흔든 바 있다. 최근에는 '지각'과 관련한 연구에 주목하고 있다. 단순한 감각이 아닌 뇌가 무엇을 ‘본다고 느끼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그는 “뇌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의 뇌에선 무슨 일이…고해상도 3차원 이미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관찰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TRISCO 기술을 통해 쥐의 뇌 조직을
투명화
하고 mRNA를 염색해 관찰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연구팀이 쥐에게 항비만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를 투여하고 뇌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을 모니터링하자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뇌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빛의 반사를 최소화하고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고 분석했다. (doi: 10.1242/jeb.237917) 그렇다면
투명화
방식으로 투명인간을 만들기 위한 다음 질문은 이것이다. 투명하지 않던 생명체를 유리 문어처럼 투명하게 만들 수 있을까? 이런 기술은 꽤 예전부터 연구돼왔다. 2013년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팀이 ... ...
[과기원NOW]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중소상공인 위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발표했다. 해당 기술은 연구팀의 원천기술인 ‘초음파 조직
투명화
’ 기술을 기반으로 김혜민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상륜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세륨과 염소 기반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 ...
알츠하이머 초기 신경세포 시냅스 손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일어난다. 연구팀은 연구장비기업 얼라인드 제네틱스와 공동 개발한 ‘3차원 뇌
투명화
기술’과 ‘고도화된 시냅스 단백체 분석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소포체가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축삭돌기 안에 쌓여 시냅스 손상이 일어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단일세포전사체 분석 ... ...
몸속 깊은 곳 암조직 들여다보는 현미경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공초점 형광 현미경에 적용해 기존 대비 6배 이상 깊이에서 영상을 확보하는 초음파 조직
투명화
기술을 적용한 현미경을 개발했다. 장진호 교수는 “초음파와 광영상 전문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기존 광 영상 및 치료 기술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투명한 스마트폰, 이론적으로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18
이의 제조법’의 문서에 첨부된 이미지이다. 정보기술(IT)업계는 이를 보고 “아직
투명화
할 수 없는 부품들은 베젤 아래에 숨길 계획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삼성 디스플레이 제공 투명 스마트폰, 왜 필요하냐고요? 2020년 9월 그림 한 장에 정보기술(IT)업계가 술렁였습니다. 삼성이 투명한 ... ...
나의 기억저장 세포는 어디에 있을까…세포 분포 뇌지도 제작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적용한 두 기술 모두 박 교수팀이 이전에 개발한 것이다. 전뇌
투명화
기술은 뇌 전체를
투명화
해 그 안의 세포들을 시각화할 수 있고, 초고속 전뇌 면역염색 기술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면역염색을 뇌 전체에 걸쳐 빠르게 수행한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공간 공포 ... ...
"2030 잡아라"…이재명·윤석열, 가상자산 공약으로 표심 공략
연합뉴스
l
2022.01.19
공약을 발표했다. 가상자산의 법제화를 통해 다양한 사업 기회를 열고, 공시제도를
투명화
하고 불공정 거래는 감시해 투자자를 보호하는 등 건전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그는 "눈을 가린다고 이미 존재하는 시장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피할 수 없다면 앞서가야 한다"며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연구실에서 근무하던 정광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뇌
투명화
기술이 방아쇠가 됐다. 직접적인 뇌 팽창 기술은 다이서로스 교수실 출신의 또 다른 천재로 광유전학 개발에도 공을 세운 에드워드 보이든 MIT 미디어랩 교수가 2015년 처음 선보였다. 2016년 정 교수와 박정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