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계몽"(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尹 파면 후 과기정책 표류…연구자 중심 '글로벌협력' 고려해야2025.04.09
- 수도 없는 과학기술 과학기술계의 입장이 난처하다.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비상계엄을 '계몽령'으로 착각했다는 대통령의 탄핵에 울 수도 없고 웃을 수도 없는 형편이다. 그야말로 진퇴양난(進退兩難)의 입장이 돼버린 것이다. 탄핵으로 3년 가까이 추진해서 이제 겨우 익숙해지고 있던 과학기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2021.06.03
- 주장했고, 볼테르 또한 뉴턴주의를 바탕으로 왕정에 반대하는 논리를 폈다. 프랑스의 계몽사상이야말로 훗날 프랑스대혁명의 철학적 기반이 됐고, 그 기저에는 근대과학의 과학적 방법론과 과학자사회의 규범들, 과학적 세계관이 녹아 있었다. 19세기의 다윈과 20세기의 아인슈타인의 일생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경쟁과 불평등의 이데올로기2021.02.11
- 멘토링을 제공하고, 학술지의 온라인판을 통해 삶을 긍정하는 방법과 살아남는 방법을 계몽하는 현상이 유행하고 있다. 이제 대부분의 학회는 선배 과학자와 후배 과학자들을 만나게 하는 멘토링 테이블을 운영하며, 멘토링과 힐링은 한국 회사원들에게 나타나는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2020.07.30
- 100년도 넘은 현대에 끌어와, 과학자들과 일반 대중을 계몽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계몽의 결론이 인본주의 과학이고, 그에 대한 사상이 바로 인본주의 과학철학인데, 그건 바로 “과학도 인간이 하는 것이다”라는 허망한 순환논리다. 장하석 교수가 과학철학자로 온도계의 발명을 연구해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2020.06.24
- 없다. 이제는 중세 교양 교육(artes liberalis)의 핵심이었던 ‘3학4과’를 고집할 수도 없고, 계몽시대의 ‘인문주의’만 강조할 수도 없다. 심지어 교양 인문학(liberal arts)의 의미도 달라져야만 한다. 실제로 스마트폰을 처음 개발한 스티브 잡스가 강조했던 교양 인문학은 문학·역사·철학으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 사람들은 이런 상상을 더 많이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아직 한국사회는 서구의 계몽주의 시대조차 건너가지 못한 셈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과학이 모든 사회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다는 과학주의의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 물론 서구 사회가 걸어온 타임라인에 우리 역사를 ...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2020.02.15
- 의사들이 의지하던 자연주의적 의학에 비해 더 믿음직스러웠다. 때마침 유럽 사회는 계몽주의 열풍이 불고 있었고, 이성과 지식이 세계와 인간, 건강을 개선하는 새로운 신의 자리에 올랐다. 의학의 앙시앵 레짐은 무너졌다. 이제 서구에서 전통 의학은 사실상 명맥이 끊어진 것이나 다름없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 지인들에게 사과 일화를 얘기했다. 이 이야기를 한두 다리 건너 전해들은 사람 중에 계몽주의의 위대한 선구자 볼테르도 있었다. 뉴턴과 동시대에 살면서 뉴턴으로부터 직접 그 일화를 전해 들었다는 문서도 없지 않다. 그 내용은 대충 이렇다. 사과가 수평 방향으로 또는 위로 움직이지 않고 지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 내 말을 새겨들어야 한다. ③ 지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주변의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계몽시키고 잘못을 고쳐줄 책임이 있다. ④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자리에 올라있는 상상을 즐겨 한다. ⑤ 이 사회에는 무식하고 멍청한 사람들이 아주 많다. ⑥ 무엇이 옳은지 알지 못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2019.08.01
- 계몽주의 이념으로 성장의 환상에 빠져 있던 유럽사회에 경종을 울렸다. 그는 계몽주의자 고드윈과 끊임없이 논쟁했고, 지속적으로 《인구론》을 대폭 수정해나갔지만, 그가 주장한 핵심사항은 변하지 않았다. 즉, 인구와 식량(혹은 자원) 간 균형에 관한 인구항상성 원칙과, 그 원칙을 유지시키는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