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스페셜
"
망원경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우주용 전기추력기 개발 기업체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다이아몬드 거대전파
망원경
관측소(SKAO) 사무총장이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국제 거대전파
망원경
(SKA) 개발 관련 협력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다이아몬드 사무총장은 SKA 건설 현황과 핵심 연구 분야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의 참여가 SKAO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138개 발견…지구 충돌 위험 행성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8
우주
망원경
(JWST)의 적외선 관측 기술과 합성 추적기법을 결합했다. JWST는 기존 가시광
망원경
과 달리 적외선을 활용해 소행성의 열 방출을 감지한다. 적외선은 소행성의 반사율에 영향을 받지 않아 크기와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소행성 13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고용노동부, 청년 구직자 교육 지원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왼쪽부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5일 '고용노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과 ... 자매로 불리우는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과 아기별이 탄생하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도 천체
망원경
을 통해 직접 살펴볼 수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암석,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9
두 연구팀은 화성과 목성 사이 주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들을 분석했다. 이들 소행성을
망원경
으로 관측한 분광 데이터와 주요 소행성군의 충돌 및 동적 진화에 대한 첨단 시뮬레이션을 결합해 운석의 기원을 추적했다. 분석 결과 마르셋 연구원 연구팀은 '마살리아 소행성군'으로 알려진 소행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연구 결과를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주파 전파
망원경
인 로파(LAFAR)를 사용해 이번 제트를 관측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거인인 '포르피리온'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분석 결과 포르피리온의 생성 시기는 63억년 전으로 추정됐다. 우주의 나이인 13 ... ...
[표지로 읽는 과학] '행성 포식자' 흔하다…지구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3
21개 성분의 비율을 분석했다. 별을 구성하는 원소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달라져 이를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이다. 그 결과 91쌍 중 약 8%인 7쌍에서 두 별의 원소 구성 비율이 눈에 띄게 차이 났다. 연구팀은 "두 별 중 하나가 행성 포식으로 성분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며 "두 별이 비슷한 행성을 동시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의해 가스를 잃는 과정을 처음으로 관찰했다. JWST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거대 우주
망원경
을 사용해 오리온 성운 내부에 위치한 원시 행성 원반인 'd203-506'을 관측해 얻은 성과다. 연구팀은 d203-506에서 원시 행성 원반 표면이 강한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영역인 광해리 영역(PDR)을 관측한 뒤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국제 공동연구 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등 전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는 인공지능(AI) 기반 확장현실(XR) 기술이 적용된
망원경
(오썸피아), 인명구조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음성인식 및 AI 기술이 적용된 신고접수 솔루션(넥타르소프트), 자율주행차량용 교통상황 정보 제공을 위한 차량간 통신기술 장비(아이티텔레콤), 신약개발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라면 전파가 관측돼야 하는데, 당시 중력파가 나온 방향에서 전파
망원경
이 포착한 천체는 없었다. 한편 중력파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두 중성자별이 합쳐지면서 생겨난 천체의 질량이 질량 공백 범위에 들어가는 사례도 나왔다. 최초의 중성자별 병합 관측인 2017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희귀하다고 설명이다. 아직 다 성장하지 않은 별 주변은 가스와 먼지로 가득차 있어 관측
망원경
의 해상도가 매우 높지 않고서는 강착원반을 관측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강착원반에 회전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하는 '케플러 회전'이 발생한다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