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식욕"(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2024.09.04
- 발견했다. 중뇌는 '파충류의 뇌'라고 불릴 정도로 원초적인 생리(호흡, 체온, 수면, 식욕 등)를 조절하는 영역이고 소뇌는 운동과 자세 조율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플라시보 효과는 기대 또는 의지라는 인지 과정의 결과로 해석되기 때문에 rACC에서 신피질(소위 '인간의 뇌'라고 부르는)로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2024.08.07
- 문득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라는 말이 떠오른다. 가을이 오면 식욕이 늘어 살이 찐다는 건 엄밀히 말하면 여름 무더위에 입맛을 잃어 빠진 살이 돌아오는 게 아닐까. 섭식 행동은 이처럼 무의식의 영역에서 벌어지는 생리 반응의 결과라서 의지만으로는 통제하기 어려운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2024.06.29
- 있어 '받아들여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다시금 상기시키는 발견이다. 식욕 못지 않게 사회적 욕구가 강한 인간에게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지표가 몸에 새겨져 있다고 해도 이상한 일은 아닌 것 같다. Eisenberger, N. I. (2015). Social pain and the brain: Controversies, questions, and where to go from here. Annual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2024.05.02
- 의지력에 기댄 다이어트는 십중팔구 실패하는 현실에서 무의식의 신호 회로를 건드려 식욕을 낮춤으로써 덜 먹게 해 살을 빼는 해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욕망은 누르는 게 아니라 가라앉혀야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 진리임을 다시 한번 느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2023.12.16
- 교수 연구팀이 생쥐 뇌의 1차 운동피질에서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다발성 경화증, 식욕부진증, 담배중독 등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 특징이 발견됐다. 인간, 원숭이 등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이같은 특징은 동일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등을 일으키는 유전적 ...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2023.08.08
- 사용하는 게 가능할까. 살빼기 위한 약의 원리로 식욕을 느끼는 호르몬의 분비를 막거나 식욕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그와 비슷한 효과를 일으키는 다른 기전의 약을 구상해도 된다. 이미 체중조절용 약이 개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은 그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2023.07.12
- 다양한 미각수용체가 존재해 맛 분자를 감지하면 신호전달물질을 분비해 식욕 조절 등 적절한 반응을 한다. 실제는 세포 하나에 한 종류의 미각수용체만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네 가지(지방맛수용체도 포함)를 모두 그려 넣었다. 네이처 리뷰스 약물 발견 제공 장세포 실험 결과 아스파탐이 소장의 ... ...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2023.05.26
- 한편 에너지충족감은 배고픔을 감지하는 시상하부 내 AgRP 분비 신경세포들이 감지하여 식욕을 조절하게 되는데, 음식 섭취에 따른 에너지 충족감은 AgRP 신경세포-외측시상하부-복측피개영역의 경로로 전달되어 역시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과 영양분의 흡수가 서로 다른 통로를 ... ...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에 대한 이해 어디까지 왔나동아사이언스 l2023.05.07
- 질환을 뜻한다. 몸의 모든 장기와 조직에 나타날 수 있으며 체중감소나 증가, 피로감, 식욕부진, 감각 이상, 기억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에 비해 4배 정도 많다. 사이언스는 자가면역질환 관련 특별호를 이날 발간했다. 사이언스는 “전 세계 인구 약 5%가 80개 이상의 다양한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2023.05.03
- 은 화학치료를 받은 암환자들의 구토방지제로 쓰이고 있다. 드로나비놀은 에이즈 환자의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대마초를 비롯한 마약이 중독성을 보이는 것은 뇌의 보상회로를 건드리기 때문이다. 대마초의 경우 반복 투여하면 보상회로의 내인성카나비노이드 신호전달 체계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