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재
목판
땔나무
스페셜
"
장작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다시 미세먼지의 공습…중국발·국내발 혼란
2025.03.12
타고 태평양을 건너 미국까지 날아가기도 한다. 인간이 만들어내는 먼지도 있다.
장작
·석탄·석유·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연기를 뜻하는 '매연'(煤煙)도 미세먼지다. '스모그'(smog)라고 부르기도 하는 매연은 대부분 공장 굴뚝과 자동차 배기구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생산이 전제되어야만 의미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청동기와 철기 시대는
장작
과 같은 임산연료를 가공한 탄소 덩어리인 ‘숯’(charcoal)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가능해졌다. 인류 문명의 근대화를 가능하게 만들어준 화석 연료도 모두 탄소의 화합물이다. 정보화 시대를 가능하게 만들어준 전기도 ... ...
[프리미엄 리포트] 산불이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2022.04.02
되면서 가뭄에 취약한 작물이 주를 이루는 생태계로 변했다. 여기에 가뭄이 들면
장작
의 역할을 하는 식생이 자라지 못해 산불의 위험성이 낮아졌다는 주장이다. doi: 10.1111/gcb.15190 물론 대다수 기후학자와 산림학자들은 기후변화가 산불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라 주장한다. 지난해 12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사용했던 것은 아니다. 세상에 공짜 에너지는 없다는 뜻이다.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장작
·낙엽·숯·배설물과 같은 임산연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런던·파리·시카고·뉴욕을 비롯한 거대도시는 모두 전통적인 임산연료에 의한 대화재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서울인 한성도 예외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향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은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50만 년 동안 사용해왔던
장작
·숯·석탄·석유·천연가스(LNG)와 같은 화석연료와의 영원한 결별을 뜻하기 때문이다. 모든 에너지의 소비를 전기에 의존해야 한다. 물론 소비자의 입장에서 전기는 편리하고 안전한 에너지다. 그렇다고 누구나 ... ...
"4차 유행 20~30대탓, 방역실패 책임 회피로밖에 안보여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9가 장기화하면서 분노를 풀어놓을 대상을 찾는 사람들에게 정부가 나서 20~30대라는
장작
을 던져준 것 같다”며 “코로나19 상황이 끝나지도 않았는데도 방역 완화 정책들을 쏟아냈다가 사태를 키운 정부가 정책 실패의 원인을 20~30대에 돌리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가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자원이 풍부하고 기후가 온난하면 아무래도 살기는 편하다. 겨울이 없으니
장작
을 팰 이유도 없고, 튼튼한 집도 필요 없다. 옷도 가볍게 만들어 입으면 그만이다. 씨를 뿌리면 금방 싹이 나고, 낟알이 왕창 달린 수확물을 일년에 여러번 얻을 수 있다 ... ...
바이러스 전문가 "국내 코로나 상황 '바싹 마른 겨울
장작
' 같아...잘 관리했지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않는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입장에서는 한국 전체가 바싹 마른 가을 혹은 겨울
장작
과 같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어 “한국이 코로나19를 매우 잘 관리해온 것은 사실이지만 매우 위기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이날 ‘코로나19의 역학’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천병철 고려대 의대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이런 형태로 양극재를 만들면 충·방전으로 금이 가도 길쭉한 조각으로 쪼개진다.
장작
처럼 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기존의 양극재보다 용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결국 같은 성분의 양극재도 농도구배형으로 만들면 용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선 교수는 2005년 1세대 농도구배형 ... ...
달에 탐사선도 못보내는 반쪽짜리 로켓 개발 제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013년 1월 30일 오후 4시 정각, 나로호가 발사되는 모습. 상단 고체엔진이
장작
됐지만 한미 미사일지침에 따라 고체엔진 활용에 제한이 많았다. 동아사이언스DB 한국은 2021년 독자 기술로 개발한 첫 우주로켓인 한국형 발사체(KSLV-2) 누리호를 쏘아올린다. 누리호는 1.5t 무게의 인공위성을 고도 600∼800㎞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