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예측
추정
추측
추단
결론
유추
스페셜
"
추론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돈먹는 하마' AI 디지털 교과서
2025.05.07
한다. 물건이 세는 단위인 '개'와 동물 '개'를 구분하지 못하는 AIDT도 있다고 한다. 수학적
추론
능력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생성형 AI가 학생의 '맞춤형' 교육에 필요한 유의미한 질문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기대는 공허한 것이다.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는 질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지금 생각하면 황당하지만 원소 및 광합성에 대한 지식이 없었던 당시로서는 '합리적인'
추론
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판 헬몬트는 또 다른 실수를 했다. 5년 뒤 흙의 무게가 실은 200파운드에서 2온스(약 57g)가 부족했지만 이를 실험 오차로 보고 넘어간 것이다. 17세기 벨기에의 화학자 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中 딥시크, 미국의 규제가 낳은 '아이러니'
2025.02.12
딥시크(DeepSeek)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전략적으로 공개한 생성형
추론
(reasoning) 모델인 '딥시크 R1' 때문에 세상이 떠들썩하다. 미국 오픈AI의 GPT-o4에 버금가는 성능을 가진 딥시크 R1을 20분의 1에 지나지 않는 비용과 낮은 사양의 미국산 GPU를 사용해서 개발했다는 소식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현상이 일어난 것일 수도 있다고 슈미트는 우려했다. 과거의 사건에 기반한 통계
추론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2023년 이상 고온의 설명하지 못한 0.2℃가 알베도 이상(감소) 때문이라는 논문이 최근 나왔다. 세레스 위성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북반구 중위도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어 매우 복잡하다. AI가 등장한 이후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추론
·생성할 수 있는 LLM을 생물학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어졌지만 대규모 유전체에 적용하면 계산 부담이 커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긴 염기서열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AI 모델 ... ...
[과기원NOW] KAIST, 2024 IISWC '최우수 논문상','최우수 연구 기록물상' 동시 석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기록물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은 ‘초거대 언어모델
추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공동 시뮬레이션 인프라’ 논문으로 두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 포스텍은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직접 에너지 증착 ... ...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석사과정 등 총 11명의 팀으로 참가한 KAIST 응용인공지능 연구실(AAILab)팀은 상식 기반
추론
을 통한 작업계획 생성의 정확도 1위 성능으로 우승상 및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혁신상을 수상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재홍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정승 성균관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국어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모든 학생에게 저마다의 독창성·상상력·윤리성·
추론
능력을 완벽하고 세심하게 길러주고 챙겨준다는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정체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공식적으로는 시제품조차 공개된 적이 없다. 그런데도 2028년에는 국어·사회·과학·기술가정 등의 교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스코틀랜드의 메이스웬(William Macewen)은 신경학적 증상만으로 뇌에 생긴 종양의 위치를
추론
하여 최초로 뇌종양 수술에 성공했다. 영국에서 베네트(Alexander Hughes Bennett)는 메이스웬의 방법이 유용함으로 재확인했고 고들리(Rickman Godlee)는 메이스웬과 다른 방법으로 뇌종양 수술을 하는 등 여러 가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수학적 원리, Principia)'에서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표했다. 관찰과 실험을 토대로 귀납적
추론
에 의해 결론에 이르는 과정은 아주 과학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인류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진리를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천문학과 물리학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의 법칙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