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출간"(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볼 수 있도록 전자책은 IBS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아 볼 수 있다. 내년 초에는 영문판도 출간할 예정이다. IBS Research Highlights & Analysis, 지식의 풍경 - 다운받기 01.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광유전학, 신경세포 자라게 하고 뇌 기억력 높인다 02.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시냅스 ...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논문에 인용한 숫자는 163개에 달했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5년 출간된 자신의 책 제목을 딜런의 노래 제목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 on Heaven's Door)'로 정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과학자들이 딜런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도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197 ...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2016.10.21
- 공간을 갖춘 곳도 있다.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북카페의 경우 해당 출판사와 계열사에서 출간하는 다양한 책을 만나볼 수 있다. 서가에 있는 책은 자유롭게 가져다 읽을 수 있으며, 구매 시 할인을 적용해주기도 한다. 음료 외에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메뉴도 판매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
- 비움으로 더 풍요로워지는 삶, 미니멀 라이프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일본의 단샤리 열풍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확산되었다. 지난 3월 국내에서도 출간된 번역서 <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에는 저자들이 동일본 대지진 당시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집안에서 쏟아져 나오는 물건들을 보며 "대체 이 많은 물건은 다 뭐였을까"라며 자조하는 내용이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사교위상수학의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전체적으로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에 출간된 책에서는 사교위상수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플로어 상동성'을 다뤘는데, 이 도구를 습득하려면 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등 수학적 지식이 많이 필요해 종합적으로 설명했다고 한다.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 , , , 등의 저서를 출간해 후학들의 학문 증진에 힘썼다.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 문화재청 제공 그의 또 하나의 업적으로 잘 알려진 것이 1961년 제작한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다. 우리나라의 첫 아날로그 ...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인문학과 교수의 글이 더해져 2013년 ‘상상력의 마술상자, 섬’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하기에 이른다. “아직도 많은 섬이 우리와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독자가 이 책을 본 후 자기만의 섬을 찾아볼 것을 권장합니다. 한 번쯤 다른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잠자고 있던 ...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12
- 영미권 진입을 일궈냈다. 이처럼 영미권 외 중동, 북유럽 등지에서 한국 작가들의 책이 출간되고 약진하고 있지만 K-문학을 K-pop, K-드라마를 잇는 단순한 '수출상품'으로만 보는 시선은 위험하다. 실제로 미국 출판시장에서의 해외문학 번역물은 단 1%에 불과하다. 아직은 세계 문학시장에서 미약한 ...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KISTI l2014.04.25
- 10급도 안 되지만 1994년 바둑의 끝내기를 수학적으로 분석한 을 출간해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벌리캄프 교수 주최로 2007년 11월 28일과 29일 양일간 한국기원에서 ‘쿠폰바둑대회’가 열렸는데, 이 대회에서는 우리나라의 프로기사 안조영, 송태곤, 원성진, 한상훈, ...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KISTI l2014.04.10
- 각계의 학자들이 발표한 자료와 자신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을 출간했는데, 이것이 큰 반향을 일으켜 곧바로 ‘왕립학회 회원’으로 추천되었다. 한마디로 천재가 초기부터 두각을 나타낸 것이다. 그의 과학 연구가 화학 분야에 집중된 것은 우연히도 그의 집 근처에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