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3,85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09
거리에 있다면 우리가 보는 달의 크기는 같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달의 궤도는 정확한
원
이 아니다. 그러므로 달의 크기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눈썰미가 좀 있는 사람은 며칠 간격으로 달을 쳐다보면 달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적어도 오늘 크게 느껴진다거나 작게 느껴진다거나 하는 정도는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09
지점을 물색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MRO는 기존 영상보다 해상도가 6배나 높은 대형 망
원
카메라, 지하 투시 레이더 등 최첨단 장비를 실었다. 다른 탐사선보다 1분에 10배 이상 더 많은 자료를 전송할 수도 있다.2007년과 2009년 각각 발사 예정인 탐사선 ‘피닉스 마스’와 ‘화성과학실험실’을 도와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09
1996년 7월 5일 영국 로슬린연구소에서 양 한 마리가 태어났다. 이 양에는 ‘돌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계 최초의 복제동물이었다. 돌리 이후 ‘ ... ‘진순이’.•2005년 : 복제개 ‘스너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개봉 박두! 복제 동물
원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2. 무한 복제의 ... ...
"떨어지는 속도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8
아바타의 마법에서 깨어난 후 논리적으로 위기를 극복한 지오와 아리스 일행. 재빨리 다음 모험지를 향해 길을 떠나는데…. 화가 머리 꼭 ... 활동을 통하여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워가고 있답니다. 미래의 과학자를 기르는 청
원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의 무한한 꿈이 실현되기를 기대합니다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08
소지섭 역시 퇴계 이황의 후손이 아니냐는 장난 섞인 의심을 받았다. 한 누리꾼이 1000
원
권 지폐에 있는 이황의 초상화에서 눈과 코 부분을 오려 소지섭의 얼굴에 붙인 사진을 인터넷 유머 사이트에 올린 것이 계기가 됐다. 특별한 그래픽처리를 하지 않았는데도 두 사진은 마치 한 사람의 얼굴을 보는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08
필자가 어느 날 마침내 다음과 같이 호통을 치는 국회의
원
을 만났다. “이봐요, 천문연구
원
장! 당신은 우주를 연구한다는 사람이 왜 그렇게 배포가 작소. 세상에 6.5m가 뭡니까! 65m짜리 계획 세워서 다시 올려 봐요!” 그러나 깨어보니 꿈이었다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08
크고 파장이 짧다 파장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약 01A˚ 이하의 것을 말한다 γ선은
원
자핵이 에너지 준위 사이를 전이함으로써 방출 또는 흡수된다 소립자의 생성이나 소멸의 과정에서도 방출·흡수된다 인공적으로는 베타트론이나 싱크로톤 등 입자 가속기에서 만들어지는 고에너지의 전자선을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07
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다목적 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 1호’를 한국항공우주연구
원
과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이 위성은 고도 3만6000km의 정지궤도에서 통신서비스, 기상관측, 해양 관측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유럽 최대 위성 전문업체 아스트리움은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화성탐사선 ‘마스 ... ...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07
해결책이라는 이유에서다. 세계에서 매년 약 900만명이 고래 관광에 몰려 10억달러(1조
원
) 정도의 관광수입을 올리고 있다.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고래의 서식처가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고래 관광의 시장성이 없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 최 실장은 “제주도 앞바다에선 지금도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07
경성제국대학 설립안을 만들어 1924년 5월 지금의 서울 종로구 동숭동 마로니에 공
원
자리에 문을 열었다. 이른바 물타기였는데, 그 작전은 대성공이었다. 아인슈타인을 초청하기 위해 일본을 다녀온 강인택은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증언했다. “우리에게 터럭만치라도 권리가 있다 하면 벌써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