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먼저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느냐에 승패가 결정된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먼저 적을
발
견하면 적을 제압할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다. F-15k는 이를 위해 1백30km나 탐지할 수 있는 최신 레이더인 APG-63(v)1을 장착하고 있다. 안테나에서 날카로운 빔을 쏟아 분석하는 기계식 레이더인데, 동시에 10개의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자원이 한정된 경우라도 최대의 효과를
발
휘할 수 있도록‘자원 최적화 방법’도 활
발
하게 연구되는 추세다.상상에 그쳐야 했던, 그래서 마음 한 구석에 늘 아쉬움으로 남겨둬야 했던 우리의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가상 현실의 세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인간이 꿈꾸는 영역의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생식만 고집한다면 어떤결과가 나타날까. 건강이 개선되기 보다는 각종 소화 불량이
발
생해 오히려 해를 끼칠 위험이 크다. 또한 식품이 함유한 영양소의 섭취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일반적인 조리를 하기보다는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형태로 식품을 먹어야 할 것이다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또한 그녀에 대한 시기와 반목의 목소리가 있었고 염문설까지 퍼져 나왔다. 아직 여성이
발
을 들여놓지 않은 과학 분야에서 두드러진 연구성과를 내놨지만, 그녀는 여전히 폴란드라는 약소국 출신이었고 게다가 유태인이었다.마리 퀴리가 과학자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별이 있을까. 올해 초 유럽남반구천문대의 지름 8.2m인 VLT망원경을 이용한 관측결과가
발
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많이 나타난다. 특히 가장 큰 기둥 안에 있던 붉은 별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비록 연금술은 실패했지만 연금술사들은 연구와 실험의 과정에서 여러 화학 물질을
발
견했다. 그리고 영구기관이 현대 열역학의 기본 원리들을 이끌어낸 것처럼 연금술은 현대 화학의 모태가 됐다. 현대의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도 현자의 돌과 다르지 않다.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힘을 쏟기 위해서다. 그러나 모든 자전거를 이렇게 만들지 않는다. 엉덩이와 무릎과
발
목의 각도 변화로 힘과 지구력이 달리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1 모형을 통해 무령왕릉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왕릉 내부 복원 도면과
발
굴조사 보고서에 나온 실측 일러스트, 그리고 당시 무덤 내부를 촬영했던 사진을 기초자료로 무령왕릉 전체의 모습을 컴퓨터그래픽스로 잡아냈다. 또한 무령왕릉 벽면에 있는 수천개의 벽돌은 컴퓨터그래픽스로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것이다. 몇달 동안 꾸준히 목성의 위치를 관측해보면, 그 움직임에서 이런 규칙성을
발
견할 수 있다. 작은 태양계 추적하기소형망원경으로 목성을 처음 봤을 때 가장 눈에 띄는 대상이 바로 목성의 4대 위성이다. 작은 별들이 목성의 양옆으로 쭉 늘어서 있는 모습인 4대 위성은 오래 전 갈릴레이가 ... ...
세계 최고 하이테크 축구공 피버노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피버노바는 전례없는 최고의 기능을 가진 축구공임이 입증됐다. 특히 피버노바는 로봇
발
로 차 35m 떨어진 목표공을 맞추는 테스트를 거쳤다. 테스트 결과 2천회 중 1-2회 정도만 빗나가는 놀라운 정확성을 보여줬다고 한다. 하이테크 축구공 피버노바의 비밀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트리콜로에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