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도입해보면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생명체는 역동적인
시스템
이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는 길은 아직 멀다”고 말했다. 이미 염기서열이 알려진 게놈도 아직 그 작동방식을 제대로 모르는데, 사람이 완전히 새로 게놈을 설계한다는 건 아직 시기상조라는 설명이다.미국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더 많은 수확량을 확보해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국제미작연구소 광합성
시스템
모델링연구소의 존 쉬히 박사팀은 이런 구상에서 벼를 C4식물로 바꾸는 연구를 시작했다. 존 쉬히 박사는 “C4벼를 만들면 광합성 효율을 2~3배 높여 쌀 수확량을 50% 가량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2009년 ... ...
미래의 글쓰기는 즐거운 ‘필살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많은 과정이 전부 쓰는 것과 관련돼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정보기술(IT)
시스템
이 가 보급되면서 글쓰기는 더 중요해졌다. 예전에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사람들과 직접 얼굴을 맞대고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인터넷이나 e메일의 네트워크를 통한 ‘쓰기 대 쓰기’ ... ...
수학적 사고력으로 컨설팅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때문에 오류가 없는
시스템
을 만든다고 해.“회사의 문제점을 알아야 제대로 된
시스템
을 만들 수 있어요. 문제점을 모르고 만들면 나중에 큰 오류가 생길 수 있어요. 그런데 회사에선 문제점을 말해 주지 않으려고 해요. 외부에 문제점을 알리고 싶지 않은 거죠. 따라서 인터뷰하는 능력이 필요해요.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엘리베이터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내놓았어요. 가고자 하는 층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이 먼저 계산을 해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줘요. 게다가 에너지도 20%나 적게 쓸 수 있지요. 이 밖에도 냉장고, TV 등 터치 기술은 빠르게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답니다.만지지 않아도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활용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의사나 환자가 개인게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
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5년 황우석 사태 이후 새로운 생명과학 분야에 과감하게 뛰어들지 못한 채 움츠려 있는 우리나라 환경에 익숙해 있던 기자는 마치 미래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 같은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닮은 로봇 비행체캠퍼스에 출현한 이상한 새의 정체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SSSLAB)’ 한재흥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새(SF-2)다. 한 교수팀은 새, 박쥐, 곤충 같은 자연계 동물들의 날갯짓 원리를 모방해 ‘생체 모방형 날갯짓 비행체’를 개발하고 있다.한 교수는 “새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북부팀의 조재운 연구원이 산양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 수신기를 높이 쳐들며 말했다. 조 연구관이 추적하고 있는 산양들은 복원센터 뒤뜰에 있는 계류장에서 한동안 지내다가 지난 주 5월 3일에 방사된 녀석들이다.녀석들은 지난 2~3월에 눈 쌓인 설악산 능선 자락에서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무료로 2년간 정보를 업데이트해준다”며 “그 뒤로는 일정액의 ‘정기구독료’를 내는
시스템
”이라고 설명했다. 이 정도 서비스라면 가격이 한 번 더 10분의 1로 떨어져 3500달러가 될 때쯤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게놈 분석을 진지하게 고려할 것 같다는 예감이 밀려왔다. 미국 케임브리지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1mW=10-3W)를 생산한다.카자카리 교수는 “이 기술은 라디오파를 쓰는 센서나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센서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휴대전화 수준의 휴대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