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신비의 집' 내부의 많은 방들을 완성했다. 그림의 수준은 사람이 막대기 형상보다
약간
나은 정도였다. 그러자 윌리엄스는 70장의 그림을 플로피디스크 한장에 압축시킬 방법을 생각해 냈다. 그 당시 조금이라도 애플컴퓨터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불하다고 생각한 작업이었다. 그림 전체를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용된다.여름에 동해안의 해수욕장에서 잡는 조개가 대복인데 반지락보다는 크기가
약간
크고 껍질이 매끈하고 광택이 나며 무늬가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국을 끓이는데는 동죽이나 가무락조개를 많이 쓰는데, 모두 반지락 백합과 함께 서해안의 조간대와 모래 섞인 개펄에 서식한다. 그리고 ... ...
신소재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활용하면 더욱 빠른 속도의 컴퓨터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조셉슨소자는
약간
의 자장변화로 약 1천억분의 1초라는 짧은 시간에 전기신호가 바뀌는 초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또 장차 컴퓨터개발의 방향은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다 인간과 친밀하게 느껴질 수 있는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앞으로 외과의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리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또 프로그램을
약간
바꿔주면 안과수술시 성공의 관건이 되는 정확한 절개임무를 떠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중이(中耳)에 있는 아주 작은뼈들을 교정하고, 뇌종양을 절제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한다.현재 로보닥은 인간을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하늘에 사자자리 아래 쪽으로 보인다. 밝기는 -4.0등급(직녀의 약 40배)으로 지난달보다
약간
흐려졌다. 그러나 중순경에는 점차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화성/사자자리에서 처녀자리로 옮겨가고 밝기는 2.0등급이다.목성/방향이 태양과 너무 근접해 이달에는 볼 수 없다. 17일이 합(지구 태양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별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20세기의 베비지, 힐리스데이터플로구조가
약간
시들 해질 무렵 처리기의 숫자에서 한 단계를 넘는 새로운 기계가 등장했다. 커넥션 머신(connection machine)이라는 이름의 이 기계는 젊은 공학도인 다니엘 힐리스가 만들었다. 힐리스는 전형적인 공학도는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교수는 신경세포 모델의 데이터처리에 퍼지이론을 채택했다. '중간 정도'라든가 '
약간
약하다' 등의 애매한 양을 최적으로 판단해 그 결과를 순식간에 끌어 내는 방법을 연구했다. 현재까지 퍼지와 뉴런기술의 소프트웨어적인 결합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뉴런을 퍼지화해 조그마한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 중심 핵은 희미한 백색 왜성으로 남게 된다. M 57은 작은 망원경으로 볼 때 목성보다
약간
큰 9등급의 희미한 원반으로 보인다. 그 고리모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구경이 1백㎜ 이상인 망원경이 필요하다. 고리 중심에 있는 별은 15등급으로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망원경으로 찾기에는 너무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타이탄과 함께 대기를 가진 세번째 위성이다. 트리톤의 대기 성분은 주로 질소이고
약간
의 메탄이 섞여 있다.남극관에서 북쪽으로 가면서 표면은 일반적으로 더 어둡고 붉어진다. 이는 트리톤 대기중의 메탄이 자외선 복사에 의해서 빛을 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어두운 영역을 가로 지르는 밝은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공룡(텍사스에서 발자국 발견)의 12m/초. 이 수치는 가장 우수한 단거리 선수의 기록보다
약간
빠른 것이다. 대형공룡의 속도는 여기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대형인 사우로포드류는 약 1m/초로 사람이 걷는 속도에 불과하다.대형 육상동물이 어떻게 자기 몸무게를 유지했을까에 대해 처음 의문을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