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채식주의자가 된 육식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룡의 골격을 조사한 결과 이 공룡이 육식과 채식을 함께 했다고 ‘네이처’ 5월 4
일자
에 밝혔다. 이 공룡은 두 발로 서서 걷고 키 1m 이상에 몸 길이는 4m 정도다.공룡의 이빨은 나뭇잎을 찢기에 적합한 모양이었다. 남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잡식성 파충류인 이구아나도 비슷한 모양의 이빨을 갖고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교수는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개발했다”고 ‘네이처’ 5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이 로봇은 주사위처럼 한 변이 10cm인 정육면체 4개가 길게 연결돼 만들어졌다. 이 로봇은 반으로 분리될 수 있다. ‘어미’ 로봇이 몸을 구부려 반으로 나뉘면서 옆에 정육면체 2개로 된 ‘딸’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더 다가선 획기적인 성과”라고 격찬했다. 이 연구는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20
일자
에 실렸다.남녀노소 환자에서 줄기세포 추출줄기세포는 210가지나 되는 모든 장기로 자랄 수 있고 무한히 분열, 증식하기 때문에 난치병 치료의 희망으로 여겨지고 있다.황 교수팀은 10~56세의 남녀 척수손상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nm=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
일자
에 발표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물질의 표면에 소형 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해‘사이언스’4월8
일자
에 발표했다. 이 접착제는 고리형 탄소화합물로 온도를 250℃로 높이면 결합력이 강해진다. 연구팀은 다양한 물질의 표면 위에 이 접착제를 6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로 입힌 후 고분자 나노 구조를 수직으로 ... ...
댐 공사로 망가지는 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 곳곳에 건설된 댐이 강 흐름을 바꾸고 토양을 깎고 있다”고 ‘사이언스’ 4월 15
일자
에 밝혔다.연구팀은 세계 292개의 큰 강이 운반하는 물의 양, 건설된 댐의 수 등을 조사한 결과 172개가 댐 때문에 손상된 것을 발견했다. 유럽에서는 큰 강의 60% 이상, 오세아니아에서는 17%의강이 훼손됐다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차드에서 발견된 투마이 두개골 화석의 얼굴을 3차원으로 복원해 ‘네이처’ 4월 7
일자
표지에 실었다. 졸리코퍼 교수는 고해상의 X선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해 투마이 화석에 뚫린 구멍들을 빈틈없이 메워 원래의 얼굴을 만들어냈다.또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포이티에대 마이클 브루네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만드는데 성공해 음파발광이 일어날 때 내부변화를 최초로 분석했다고 ‘네이처’ 3월 3
일자
에 발표했다.일리노이대 화학과 케네스 서슬릭 교수팀은 물 대신 진한 황산을 액체로 이용했고 기체로는 아르곤이나 크세논을 선택했다. 황산 용액은 점도가 높아 기포가 팽창할 때 안정된 구형을 유지할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방향을 바꾼 라스 사무엘슨과 얀 올손은 1973년 오일쇼크 이후 스웨덴에 자전거 붐이
일자
1980년대에도 이 붐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생각했다. 1970년대 말 40만명을 넘어선 자전거 사용 인구가 1980년대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이다. 특히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플라스틱자전거는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높은 온도에서 통증을 느끼게 하는 피부 단백질이 국내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 연구팀에 의해 발견됐다.고려대 의대 황선욱 교수는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노바티스유전체연구소 연 ... 진통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3월 4
일자
에 게재됐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