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일반인이 직접 가보기 어렵지만, 영화에는 자주 등장하는 장소 중 하나가 바로 정신병원이다.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신병원, 그 곳에서는 도대체 어떤 일들이 벌 ... 세계 속에서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삶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는 ‘사춘기의 호된
통과
의례’에 관한 영화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전기신호로 바꾼 뒤 특정 도시에서 사용할 신호는 나눠서 두고, 다른 도시에 보낼 신호는
통과
하는 신호와 결합해 다시 광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돼 있다.이 방식을 이용해 수십 Gbps(1Giga=109)급의 초고속신호를 처리하려면 회선분배기의 크기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초고층 전화국이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비네가 처음이다. 비네는 1905년 30개의 질문을 난이도 순서로 제시해 어느 단계 이상을
통과
하면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는 판정을 내렸다.미국 스탠퍼드대의 루이스 터먼 교수는 이를 발전시켜 1916년 스탠퍼드-비네 방식을 선보였다. 이 검사는 피검자의 정신연령을 생활연령, 즉 실제연령과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 힘이 공기 중의 먼지를 빨아들인다.진공청소기 안으로 빨려 들어간 먼지는 필터를
통과
하면서 걸러지며, 깨끗한 공기만 모터를 냉각시키면서 다시 바깥으로 배출된다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렇게 되면 한 천체에서 나온 빛이 중력을 가진 천체 주위를 지나갈 때 렌즈를
통과
한 것처럼 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관측하는 사람에게는 하나의 천체가 여러개로 보이게 된다. 중력렌즈는 빛의 이동에 관한 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아인슈타인이 처음 존재를 예측한 이후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남아있던 부스러기는 또하나의 멋진 광경을 선물한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를 지구가
통과
하면서 혜성 부스러기는 밤하늘에 유성이 돼 쏟아져내린다. 이렇듯 혜성은 멋진 꼬리와 유성우라는 두가지 우주쇼를 보여준다.혜성은 크게 핵과 코마, 꼬리로 나뉜다. 핵은 지름이 수km 정도로 얼음과 먼지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물질은 블랙홀 주위의 가스나 원반에서 흘러들어온 것이다. 이런 X선은 지구 대기를
통과
하지 못하므로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우주망원경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현재 가시광선 분야의 허블우주망원경을 비롯해 X선 관측위성인 찬드라(Chandra), XMM-뉴턴(Newton) 등이 우주공간에서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세계의 많은 국가가 인간 존엄성의 보호라는 이유로 인간 복제를 금지시키는 법안을
통과
시켰다.과연 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해 종교적·철학적으로 많은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것을 간추려보면 인간은 자신의 자율적 의사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유일하게 자아를 ... ...
과거엔 빛의 속도가 달랐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관측될 정도로 멀리 있는 천체다. 퀘이사의 빛이 긴 여행을 하는 동안 중간에 가스구름을
통과
하면 일부는 흡수된다. 이런 빛의 흡수현상이 과학자들에게 가스와 빛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연구팀은 퀘이사의 빛이 가스를 이루는 원자에 의해 흡수되는 양상을 연구해 원자의 구조를 지배하는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빛을
통과
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역할만 할 뿐이다. 액정화면은 100% 빛 중에서 7-8% 밖에
통과
시키지 못하고 빛을 자체적으로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밝은 데서는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편광판과 같은 여러 판을 많이 쓰기 때문에 일정 각도를 벗어난 상태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 않는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