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도시를 바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만들 수 있거든요. 지구상의 모든 도로를 발전소로 바꾼다면 전기 문제는 대부분
해결
할 수 있을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Part 4. 도시를 ... ...
[도전! 코드마스터] 좋은 알고리즘은 빠른 알고리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알고리즘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도 있어요. ‘1부터 10까지의 수를 정렬하라’처럼
해결
해야 할 데이터의 수가 너무 적으면 거품 정렬처럼 적은 양의 명령어로 간단하게 만든 알고리즘이 더 좋은 방법이에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더 정확한 답을 내어놓아야 할 문제도 시간복잡도를 고려할 필요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특별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믿을 수 없어요! 교장 선생님을 만나게 해 주세요!”그동안 이유도 모른 채 미션을
해결
했던 시원이와 친구들은 이번에는 교장 선생님을 직접 만나야겠다고 생각했어요.“지금 교장 선생님이 편찮으시단다. 너희를 만날 수가 없어.”“안 돼요. 만나야 해요! 만나게 해 주세요~!”시원이와 ...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단점이 있지요.최근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알렉산드리아 보엠 교수팀이 이런 단점들을
해결
해 줄 정수기를 개발했어요. 우표 한 장 크기의 이 정수기는 태양빛을 이용해 물속에 있는 대부분의 세균을 20분 만에 죽일 수 있답니다.여기엔 ‘이황화몰리브덴(MoS2)’이라는 물질이 사용됐어요. ... ...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필요해요.자신을 호출한다고 하니 어렵죠? 조금 더 풀어 말하면,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해결
할 때 어떤 특정 과정을 계속 반복해서 사용하는 거예요. 이해하기 쉽도록 하노이의 탑 문제로 재귀 알고리즘을 만들어 볼까요?하노이의 탑과 같은 규칙으로, 원판 세 개만 옮긴다고 해 봐요(왼쪽 그림). 이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수 있었어요. 세이나요키의 어린이가 건강해진 비밀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비만을
해결
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랍니다. 함께 시작해요! 움직이는 교실, 건강한 학교우리나라도 아동·청소년의 비만이 늘어나고 있어 큰 문제예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12~18세의 과체중 및 비만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의문을 갖기 시작하자 아저씨는 더 큰 소리로 재촉했어요.“자~, 그런 궁금증은 나중에
해결
하시고요. 최종 미션은 어질러져 있는 식탁 위의 재료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겁니다! 문제를 맞히면 갓 구운 맛있는 빵을 드립니다!”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우리가 마시는 음료수는 산성? 염기성?우리 ... ...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사연을 보게 되었지요. 그때 선생님 말씀이 떠올랐어요, 그리고 제가 배운 SW로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요.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친구 민서와 민곤이, 디자인을 잘하는 인철이와 한 팀을 꾸렸어요. 그리고 보지 않아도 젖병의 물 높이를 맞추는 ‘젖병 무게 감지기’를 만들기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항상 해를 본다고 알려져 있어요. 정말 이말이 사실일까요?이 궁금증을
해결
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의 스테이시 하머 교수 연구팀이 해바라기에 대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어린 해바라기들만 낮과 밤에 따라 움직인다는 게 밝혀졌지요. 반면 다 자라 꽃이 핀 해바라기는 항상 동쪽을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그리고 건강이 회복 되는대로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 주었죠.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
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다친 상괭이들이 발견될 거예요. 그래서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상괭이 탈출 그물’을 개발하고 있답니다. 일반 그물의 아래쪽에 구멍을 뚫어 상괭이가 그물에서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