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뉴스
"
분석
"(으)로 총 17,088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뇌의 불안정성이 심화하고 이로 인해 뇌가 의식을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분석
했다. 또 연구팀은 간단한 신경망 모델을 만들어 이같은 과정을 시뮬레이션했다. 신경망 모델에서 신경망의 특정 지점을 억제했더니 프로포폴을 투여한 동물 뇌에서처럼 신경망 활동이 불안정해졌다. 제 ... ...
뇌세포 '골지체 이온채널' 발견…"인지장애 치료 열쇠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초고해상도로 골프캣의 3차원 분자 구조를 규명했다. 또 전기생리학 실험과 분자동역학
분석
을 통해 이온의 이동경로를 제시하고 골프캣이 세포막 통과 단백질의 전압 변환에 따라 통로가 열리는 전압 의존성 채널임을 확인했다. 골프캣은 세포 외부에서 세포막으로 이어지는 내강 도메인과 7개의 ... ...
전기연·현대기아차 "전기차 충전 오류 해결하겠다"…내년 시험센터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데이터가 쌓이면 제품 품질 개선과 국제표준 기반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
이다. 김남균 KERI 원장은 "네덜란드나 스페인에도 유사한 시험장이 있지만 민간 기업이 운영해 공공성이 낮다"며 "KERI는 제3자 입장에서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시험 절차를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희원 ... ...
달 거대 구덩이에 동굴 확인…"달 기지로 유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구덩이다. 구덩이 서쪽에서 레이더 밝기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한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분석
을 통해 해당 위치에 동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동굴은 달 표면에서 130~170m 아래에 있고 길이는 30~80m, 폭은 45m 정도인 것으로 추정됐다. 동굴 내부 경사는 평평하거나 최대 45도까지 기울어져 있는 ... ...
"가축·음식 통한 감염 가장 많아"…'인수공통감염병 지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수준을 파악하면 질병을 감시할 때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 오스트리아에서는 인간-가축, 인간-식품 접점에서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스바르-라리브 연구원은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인간의 동물원성 감염의 ... ...
아라온호 15번째 북극 여정 출발…북극 해빙·메탄 방출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심해 카메라와 통발, 드렛지 등을 활용해 해양생물의 서식환경, 기후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
할 예정이다. 아라온호는 중앙 북극해 쪽으로 진출해 해저에 있는 메탄도 탐사한다. 작년에 설치한 메탄 관측 장비를 회수해 지난 1년간 해저의 메탄 방출량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다. 북극 ... ...
우연히 동결된 5만년전 매머드 피부, 고대DNA 3D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매머드 염색체는 매머드의 염기서열 구조를 3차원(3D)으로
분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금은 멸종된 생물인 매머드의 생태를 아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염색체 구조가 온전히 남아있을 수 있었던 것은 냉각과 탈수 상태가 동시에 지속되면서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천체가 충돌할 때 중력이 우주공간으로 물결처럼 퍼져 나가는 파동이다. 별의 속도를
분석
하면 중력파보다 훨씬 높은 질량의 블랙홀을 관측할 수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중력파를 이용하면 대부분 태양 질량 100배 정도의 중간질량 블랙홀을 관측한다"고 했다. 현재까지 중력파로 ... ...
지구 대륙, 알려진 것보다 10억년 앞서 형성됐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학습된 AI로 잭힐스 지역의 다른 지르콘 샘플 971개를
분석
한 결과 3분의 1 이상이 S형으로
분석
됐다. 그중에는 최대 42억 년 전에 형성된 S형 지르콘도 있었다. 연구팀은 "두 대륙이 존재하고 한 대륙이 다른 쪽 아래로 밀려 들어가 섭입됐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판 구조론의 시작 시기를 기존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면 의도치 않게 발생한 외계 문명의 신호를 잡아낼 수도 있다는
분석
이다. 과학자들은 외계 문명의 존재 지표인 '테크노 시그니처'를 다방면으로 감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외계 문명이 건설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설에 주목한다. 태양광 패널은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