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2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스라엘연구팀, '3D프린팅' 인공심장 공개…"혈관까지 첫 성공"
연합뉴스
l
2019.04.16
환자들에게 적용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인공심장이 실제 장기처럼
작동
하게 해야 하고 인체에 이식하는 문제도 남아있다는 것이다. 드비르 교수는 "아마 10년 후 세계의 우수한 병원들에는 '장기 프린터들'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휴대전화에 배터리 끼우듯 건물에도 배터리 넣을 수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부품을 다 넣어 모듈화를 실현했다. 미려한 디자인도 채택했다. 김 대표는 “구체적인
작동
원리는 비밀이라 밝힐 수 없지만 모든 것은 성능이 말한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이어 “수명은 5000회 충방전에서 거의 100% 성능을 유지하는 세계 유일의 제품”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 ...
‘안정성 세계 최고’ 수소 생산용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흘려도 촉매가 망가졌는데, 새 촉매는 100mA의 전류를 흘려도 100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작동
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물 전기분해 촉매 중 안정성 면에서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수소발생반응(왼쪽)과 산소발생반응(오른쪽)을 비교했다. 작은 기포가 산소 또는 수소가 나온 흔적이다.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소프트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소프트 로봇은 이처럼 복잡한 로봇을 단순화하며 조건반사적으로 반응해 정교하게
작동
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과학자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종이접기 로봇처럼 고정관념을 깬 소프트 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직까지 연구자별로 기술력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은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이번 관측의 의의에 대해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블랙홀이라는 ‘극단적 조건’에서
작동
하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여러 단계로 조금씩 증명이 되고 있는데, 올해는 약한 중력을 갖는 태양 관측을 통해 일반상대성이론 일부를 최초로 검증한 지 10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 ‘소프트 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소프트 로봇은 이처럼 복잡한 로봇을 단순화하며 조건반사적으로 반응해 정교하게
작동
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과학자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종이접기 로봇처럼 고정관념을 깬 소프트 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직까지 연구자별로 기술력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은 ... ...
“다음 목표는 블랙홀 ‘동영상’ 촬영" 한국 전파망원경 참여도 타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의의에 대해 연구자들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블랙홀이라는 ‘극단적 조건’에서
작동
함을 증명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 연구원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강한 중력은 시공간을 휘어 빛의 진행을 바꾼다. 이 사실은 정확히 100년 전인 1919년에 개기일식을 통해 ... ...
GPS는 1024주마다 'Y2K' 공포 온다… 6일 美GPS 시간표기 ‘리셋’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시간 표기 재설정은 ‘위크 넘버 롤오버(Week Number Rollover)’로 불리는 GPS 자체 결함과 오
작동
에서 비롯된 일이다. 미국의 GPS는 2진법 숫자 10자리를 기준으로 매주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 데이터로 표기한다.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하며 1980년 1월 6일부터 이같은 방식이 적용됐다. 1980년 1월 6일을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용석·신호철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관련 제품은 중국이 가장 앞서있지만 중국 제품은 1만 럭스(Lux) 이하의 낮은 조도에서만
작동
해 실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오인증률도 높았다. 신 수석연구원은 적외선 3차원 감지기술과 심층학습 기능이 탑재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해 주변의 빛에 영향받지 않는 ... ...
분자생물학의 선구자 시드니 브레너 박사 5일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인류학자 레이먼드 다트도 있었다. 하지만 브레너 박사는 세포보다 작은 생명 내부
작동
에 관심을 갖고,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생물학연구소(MRC LMB)에 입성했다. 이후 그는 MRC에서 20년을 근무하며 1950~1960년대 탄생한 분자생물학의 기틀을 다졌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