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스페셜
"
개
"(으)로 총 6,33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확진 711명 사흘째 700명대…지난 1월3일 1020명 이후 일요일 확진 최다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1월 3일(1월 4일 0시 기준) 1020명을 기록한 이후 26주 만에 가장 많다. 방역 당국은 대
개
주말과 휴일에는 검사 건수 감소로 확진자 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번에는 주말 효과가 무색할 만큼 확진자 규모가 별로 줄지 않았다는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5일 0시 ... ...
[과학게시판]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
개
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대회는 제시된 문제에 대해 해결보고서를 제출하는 예선과 원자력연에서 모여 당일 공
개
하는 과제에 대해 해결방안을 작성하고 발표하는 본선으로 나뉜다. 예선은 5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 소속 학교장 추천으로 접수한다. 자세한 내용은 원자력연 홈페이지(www.kaeri.re.kr)에서 보면 된다. ... ...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
과학동아
l
2021.07.05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가상 우주 시뮬레이션으로 12만 4163
개
의 위성은하를 분석한 결과 블랙홀에서 분출되는 에너지가 별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9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1-03545-9 위성은하는 ... ...
코로나19 확산세 놔두면 2주 후에도 하루 800명대...젊은층 확산·변이 못막으면 1500명까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4주 후인 30일 927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일 전국에
개
편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확산세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은옥 교수팀은 올해 초 3차 유행 정도의 확산세가 이어진다면 전국에서 2주 후 하루 1568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 ...
'그래도 백신이 답'…백신 맞고 '돌파감염' 겪어도 아픈 정도·기간 모두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등 연구팀은 미국 내 8
개
의료기관의 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개
발한 전령리보핵산(mRNA) 코로나19 백신과 모더나의 mRNA 백신을 접종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30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 ...
미 독립기념일 연휴 델타변이 확산 우려…'2
개
의 미국' 갈림길
연합뉴스
l
2021.07.04
있다"고 전했고 WP는 미국은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달성과 코로나 추가 발병이라는 "2
개
의 길을 응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버드 의대 애디트 네루커 박사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 독립기념일이 코로나 확산의 이벤트가 될까 봐 걱정"이라며 "마스크 없이 식사하고 사람들과 ... ...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400만 명 육박…다시 고
개
드는 확산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명이 나오면서 새로운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 미국도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고
개
를 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CNN은 존스홉킨스의대 집계를 분석한 결과 미국 내 6일 연속으로 7일 평균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했다고 3일 보도했다. 미국은 18세 이상 성인 3명 중 2명은 1회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 뉴스와 해외 우주산업 동향과 우주 분야의 주요 이슈를 매주 소
개
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운 세계 우주 산업의 동향과 트렌드를 깊이 있게 제공할 계획이다. 박시수 스페이스 뉴스 서울 특파원은 2007년 영자신문인 코리아타임스에 입사해 사회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구조를 설계한 뒤 3D 프린터로 그날 저녁 격자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개
발한 구조는 모듈형이어서 쌓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과 비전도성이 반복되는 등 복잡한 구조의 생체 칩이나 특정 촉매나 시약만 통과하는 키트를 설계하는 데 유용할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퇴적물이 유실된 부분을 메울 수 있겠지만, 미시시피강은 산업이 발전하며 댐이 여러
개
생겼고, 그 결과 퇴적물이 하류로 내려오지 못해 유실된 지역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지만, 하천의 회복력에 따라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양상과 규모는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