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2,69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 고고학산책] 고대인들은 철새처럼 옮겨 살았다
2019.09.14
추측한 것이지요. 사람도 사는 곳을 옮겨 다녔다 덴마크에 사는 수컷 붉은 사슴의
모습
. 수컷 사슴의 뿔은 짝짓기철에 암컷에게 자신을 과시하고 경쟁자 수컷과 겨루기 위해 쓰인다. 겨울철에는 천적을 방어하는 무기가 되기도 한다. Bill Ebbesen/위키피디아 제공 집에서 살며 음식을 마트에서 쉽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 탄생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9.14
'네이처'는 이달 12일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인 '원자핵시계(nuclear clock)'의
모습
을 표지로 실었다. 일상에서는 지구가 한 바퀴 자전하는 시간을 1일로 생각한다. 이것을 잘게 분할해 시간과 분, 초를 정했다. 하지만 지구 자전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시간에 오차가 생긴다. 과학자들은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우주산업을 이끄는 리더들, 그들의 뒷이야기(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나누며 비즈니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이 포착됐다. 행사에서 길을 헤매는
모습
을 보이는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박정우 인텔리안테크 상무는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첫 글로벌 우주포럼 '코리아스페이스포럼 2019'에서 해상과 공중에서도 육상에서처럼 위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나누는 대화가 이 영화의 백미라고 평했다. 필자가 이 영화를 잊지 못하는 것은 영수의
모습
에서 나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나쁜 습관으로 건강을 해친 뒤 정신을 차렸다가 몸이 회복되고 얼마 못 가 슬그머니 다시 시작하는 일을 반복할 때마다 이 영화가 생각나며 쓴웃음을 짓는다. 서울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가 산호 번식을 가로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8
6일 아프리카 대륙과 아라비아 반도 사이에 있는 좁고 긴 바다인 홍해에 서식하는 산호의
모습
을 표지로 실었다. 산호는 입 부분에 있는 수없이 많은 촉수를 이용해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동물이지만 18세기까지만 해도 식물로 분류됐다. 산호가 만들어 내는 석회암은 시멘트의 원료가 되는 등 ... ...
암 재발의 근원 암줄기세포만 콕 찍어주는 형광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이 물질을 물게 해 세포에 주입하면 HMOX2와 결합해 적외선 형광 빛을 내며 암줄기세포의
모습
을 드러낸다. 이전에는 살아있는 암 줄기세포는 염색하지 못했다. 생쥐에 이 형광물질을 주입한 결과 암 줄기세포만을 골라 눈에 잘 띄게 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또 고농도 타이니어 형광물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여기에 실험대 위에서 잠깐씩 눈을 붙이는 습관도 도움이 됐을 것이다. 1911년 64세 때의
모습
이다. 개인적으로 난 하루에 18시간 정도 일하는 걸 즐긴다. 밤에 평균 4~5시간을 자고 잠깐 낮잠을 잔다 -토머스 에디슨 밤잠을 설치게 하던 무더위도 지나가고 이제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하다. ... ...
"추석 전후 조심하세요"…가을철 유의해야 할 감염질환 톱3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SFTS)을 전염시키는 작은소피참진드기가 흡혈한 것(왼쪽)과 흡혈하기 전
모습
(오른쪽). 미국 플로리다대 제공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쯔쯔가무시증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감염자수가 2014년 8130명이었는데 해마다 증가해 지난해에는 6668명에 이르렀다. 주로 아시아지역에 확산돼 있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생성 고세균과 영양을 주고받으며 근근이 살아갔을 것이다. 오늘날 MK-D1의 생태에서 당시
모습
을 엿볼 수 있다는 말이다. 27억 년 전부터 광합성으로 산소의 농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면서 아스가드 고세균 가운데 산소가 존재에 적응하는 종류가 생겨났다. 바로 헤임달라케오타(줄여서 헤임달)다.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도로 너무 비좁아" vs. "지금도 충분히 원활해" 도로 확장을 위해 삼나무가 베어진
모습
(왼쪽), 겨울철 비자림로의
모습
. 동아일보DB 비자림로를 확장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교통 문제’입니다. 도로는 좁은데 교통량이 점점 늘고 있어 지역 주민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