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함만 쳐도 아이의 뇌는 멍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언어적인 폭력을 받으면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우울증이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
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국제아동 발달학회지(Child Development)’에 발표됐다.이 연구를 한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은 펜실베이니아주에 사는 13~14세 청소년 976명과 그들의 부모를 약 2년간 추적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넓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또 다른 지역에서 이 연구가 뒤집힐
가능성
도 얼마든지 있다.우리나라가 동남극(장보고)과 서남극(세종)에 각각 하나씩 기지를 짓는 이유도 남극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다. 서남극과 동남극은 미국의 워싱턴과 LA만큼이나 기후가 다르다. 한 ... ...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새벽부터 해질녘까지 때로는 춥고 좁은 위장 텐트에서 미동도 없이 시간을 보내야 하고, 때로는 시동을 끈 차 안에서 추위와 싸워야 한다.단 한 장 ... 어제의 참매와 오늘의 참매가 습성이 달랐듯이, 사냥감 역시 예기치 않은 이유로 달라질
가능성
도 있다. 참매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 ...
진짜 ‘검은’ 블랙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푸른 별인 MWC656은 거성이 됐다 붕괴해 중성자별이 될
가능성
이 높다”며 “미래에는 더욱 희귀한 블랙홀-중성자별 쌍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백신 접종은 민속 의료 속에 수 세기 동안 깊숙이 뿌리박고 있었기 때문이다(남자가 아닐
가능성
도 높다). 에드워드 제너와 지석영은 민속 의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처음으로 기록에 남긴 지식인일 뿐이다.그런데 왜 우리는 ‘종두법’이라고 하면 에드워드 제너와 지석영의 이름만 기억할까?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유인지 안 쓰고 있는 걸까.사람도 겨울잠 유전자 갖고 있다답부터 말하자면 후자일
가능성
이 매우 높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쿠아줄루-나탈대 생물보존학부의 배리 러브그루브 교수는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를 분석한 결과 겨울잠 능력이 공통조상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2012년 ‘기후에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분석방법을 동원해 어떻게든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연구진이 섣불리
가능성
을 차단했다”고 비판했다. 더구나 최 소장은 “이번 연구는 154kV와 345kV 고압송전선만 조사해 최근 개발된 765kV 고압송전선의 위험성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연구팀은 보고서에 아무런 문제가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고압을 견딜 수 있고 방사능에 대한 저항력도 커서, 나노 기술 등 여러 분야에 이용될
가능성
이 높다.육팔면체는 정육면체로 만들 수도 있고 정팔면체로 만들 수도 있어서 이런 명칭이 붙었다. 깎은 정다면체를 만들 때 각 모서리를 3등분 하는 것과 달리, 육팔면체를 만들 때는 각 모서리의 중점을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매끈한데다가 바퀴벌레는 나무를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퀴벌레가 먹은 나무일
가능성
은 적었다. 연구팀은 나무 입자의 크기로 보아 바퀴벌레 몸속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한 번 소화가 됐을 것으로 보고, 초식공룡의 배설물에서 나온 것으로 추측했다. 장 속에 소화되지 않은 탄소질 찌꺼기가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큰 차이였다.하지만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 데이비드 스퍼겔 박사팀이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
을 제기했다. 플랑크는 전체 우주에서 날아오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9개)의 전파를 관측해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했는데, 유독 217GHz 대역의 자료만 이상했다. 연구팀이 이 대역을 제거한 뒤에 다시 계산해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