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차피 다 복구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질문할 수 있다. 데이터 복구기술은 날로
발전
해 하드디스크를 불에 태우거나 물에 빠뜨려도 복구가 가능하다. 그러니 영화처럼 하드디스크나 메모리를 물에 던지는 것은 순 ‘뻥’이다.사실 하드디스크는 이런 물리적 충격보다는 ‘덮어쓰기’에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찬드라얀 1호를 쏠 때 사용한 로켓(PSLV-C11)과 이번에 쓴 로켓(PSLV-C25) 모두 여기서부터
발전
한 모델이다. PSLV는 모두 4단계의 고체·액체 연료 추진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1단계 고체 추진체(139t)를 갖고 있다. 1993년 첫 발사를 실패한 이후 모든 시도가 성공했다는 점도 눈에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같은 공기업이나 SK이노베이션, LG 인터내셔널, 대우 인터내셔널 같은 자원개
발전
문 기업으로 졸업생들이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요즘에는 액손모빌이나 셰브론 같은 글로벌 기업으로 바로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에너지 관련 금융컨설턴트로 일하는 졸업생도 늘어나고 있고요.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래서 걱정 없다고? 그렇지 않아. 탈수가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탈수 증상으로
발전
하거든. 그리고 만성탈수가 계속되면 다양한 질병이 생길 수 있단다. 물이 온 몸 구석구석 가지 않는 곳이 없으니 머리카락부터 발끝까지 영향이 안 미치는 곳이 없다고!우리 몸을 지배하는 물너희가 태어나기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이래 110여 년에 걸쳐 계속
발전
한 비행기에 비하면 그 역사가 짧지요. 하지만 인류의 우주 진출은 눈부신 속도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답니다. 보이저 1호는 인류가 만든 물체 가운데 최초로 태양계 밖으로 나갔고, 여러 행성과 위성에도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느 정도 세대교체가 된 이후였다. 즉 서양을 배우고 따라잡으려 애쓰면서 물리학을
발전
시킨 시대를 이미 한 차례 보내 어느 정도 토대가 잡힌 뒤였다. 유카와 교수는 이런 토대 위에서 변방 콤플렉스에 시달리지 않으며 당당하게 이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이런 ‘국내파’는 이후 분야를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심리학자들의 ‘상식’과 완전히 상반된다는 것이다. 곽금주 교수는 “IQ는 (나라가)
발전
할수록 기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 때마다 측정 방법도 그때그때 개발해 쓰는 실정”이라며 “IQ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 것은 대단히 이상한 일”이라고 말했다.갑작스런 하락의 원인을 둘러싸고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최대로 올라왔다고 봅니다.” 남은 일은 평판도와 국제화를 높이는 일이다. 세계 학문
발전
에 얼마나 기여하느냐, 외국인 학생과 교수에게 얼마나 문을 열어놓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글로벌 KAIST’는 한국 학생에게도 좋다“외국 학생이 늘어나면 혹시 한국 학생이 줄어드는 것 아닌가요?” 기자가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가진 황제가 이끌었다. 이런 자유로움 속에서 빈에서 활동하던 분리파가 모더니즘을
발전
시킬 수 있었다.어찌 보면 뇌 과학과 미술은 마음을 보는 서로 다른 두 관점을 대변한다. 우리는 뇌 과학을 통해 머릿속에서 어떻게 기억이 저장되는지, 왜 그런 행동을 하게 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박막을 기르는 방법을 고안해 훌륭한 품질의 박막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다. LED의
발전
에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장면이다. 1992년 나카무라 교수는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면 마그네슘 불순물도 소자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방법은 파란색 질화갈륨 LED가 성공하는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