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짜로’ 과학을 체험하는 황홀한 기회, LG사이언스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놀이를 통한 생활 속 과학원리 체험의 장으로 다시 태어났다. 손바닥을 스캔해 피부
세포
부터 DNA까지 관찰할 수 있는 ‘핸드스캐너’, 제자리에서 뛰면서 화면 속 백혈구를 죽이는 게임 ‘통통스테이지’처럼 우리 몸을 이해하는 프로그램과 무선리모컨으로 청소기를 조종하는 게임 ‘로봇청소기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반적인 근전도 방식보다 한층 더 진보한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뇌 과학자들은 뇌
세포
내에서 바로 신호를 꺼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기계 연결장치(BMI)라고 부르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뇌 속에 전극을 꽂아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밀도가 인간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선명한 천연색 영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막대
세포
는 거의 갖고 있지 않아서 어두운 밤에는 거의 볼 수가 없다.반면 밤에도 뚜렷한 시각을 갖고 있는 동물이 있다. 세로로 길쭉한 눈이 매력적인 고양이들은 망막 뒤에 거울 같은 반사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망막이 ... ...
멍게로 근육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의 과학자들이 멍게(피낭류)에서 얻은 나노 크기의 *셀룰로오스로 인간의 근육 조직을 만들어 냈어요.멍게에서 사람 머리카 ...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셀룰로오스 : 식물이나 조류의
세포
막을 이루는 주요 성분으로, 섬유소라고도 한다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회전하는 상승기류에 의해 폭풍구름이 매우 크게 발달하는 것을 ‘슈퍼셀(거대
세포
) 폭풍’이라고 한다. 토네이도는 이 슈퍼셀의 맨 아랫부분에서 매우 작은 규모로 발생하는 소용돌이 기류다. 토네이도는 미국 중부 평원 지역에서 3~7월에 걸쳐 나타난다. 봄에 주로 남부지역에서 강하게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m(몰랄농도)*Kf Kf : 몰랄 내림 상수 두 학생은 상록수가 얼지 않는 이유를 광합성과
세포
내 포도당 농도, 그리고 어는점내림에 의한 효과에 연결시키면서 생물학과 화학을 아우르는 탐구를 시작했다. 물론 상록수가 얼지 않는 이유가 앞에 언급된 것들만은 아니지만 두 학생은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표현되는 수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이는 호지킨-헉슬리 모형이라 불린다. 두 사람은 신경
세포
라는 생물학적 대상을 수학적 대상으로 바꾸는 계기를 제공했다.호지킨-헉슬리 모형은 수학을 뇌과학 연구에 적용한 대표적인 예다. 특히 이 모형은 40년간 다양한 실험 결과를 예측하고 모형화하는 데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효소는 사람이 살아있을 때
세포
속에서 해로운 균을 죽인다. 하지만 죽고 나면
세포
에서 떨어져 나와 온 몸의 근육을 공격한다. 이 과정에서 지독한 악취가 생기고, 이런 악취는 다시 주변의 벌레들을 불러 모은다. 시신이 썩지 않고 보관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미라는 전 세계 곳곳에서 ... ...
감기 예방약 개발, 청신호 켜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헤마글루티닌’이라는 표면 단백질을 써서
세포
의 표면에 붙은 융합한 다음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단백질을 새롭게 개발했다.이 단백질 성분을 주사나 먹는 약으로 만들면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맞게 설계됐지만 조류독감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기지 않아 결국
세포
노화로 이어진 것.물론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p53이 고장난 암
세포
에 정상 수준의 p53을 만들수 있게 해주면 노화 부작용 없이 암 덩어리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2007년 나왔다. 결국 우리 몸은 p53을 절묘하게 조절해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