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계산하면 76일 동안 수확할 수 있는 감자는 약 28.5kg이다. 이는 총 15일 동안 먹을 수 있는 양이다. 감자가 잘 자라준다면 와트니가 굶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시간이 490일로 늘어난다. 하지만 아레스 4 탐사대가 도착할 예정인 1412일째 날까지 살려면 획기적인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한다.숫자가 된 글자로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상대의 카드만 볼 수 있는 것이 핵심인데 이것은 차이가 없나.정 : 결국 내가 아는 정보의 양은 동일하다. 상대편의 머리 위에 있는 카드가 내 카드라고 생각하고 플레이해도 결과가 똑같을 것 같다.엄 : 영희의 내쉬균형을 구하는 방법도 AKQ와 똑같다. 앞서 게임과 마찬가지로 철수가 거짓말을 할 때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벌렁거리며 이렇게 말하는 사이, 소년도 다른 의미로(!) 콧구멍을 벌렁거리고 있네요. 양 눈은 반달이 됐고요. 비웃음을 터뜨리기 일보 직전입니다. 표정을 보아하니 소녀가 또 뭔가 책잡힐 말을 했나 봐요. 불길해진 소녀가 소년의 눈치를 살피며 묻습니다. “뭐…, 뭔데 또?” 소년이 자신만만하게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지요. 손톱에 붙였다 뗐다 할 수 있으면서, 가장 위에 있는 스티커층만 바꾸면 매일 모양도 바꿔 사용할 수 있어요.MIT 미디어 연구소 연구팀은 앞으로 더 얇은 네일오를 만들 예정이에요. 그래서 중국의 한 배터리 회사와 0.5mm 두께의 손톱크기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배터리가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다시 쓴다는 훈민정음 조항대로 안상수체는 종성의 자음 모양이 초성에 오는 자음 모양과 같다.그럼 내 글씨체로도 폰트를 만들 수 있을까? 사람이 쓴 손글씨는 쓸 때마다 조금씩 달라져 폰트로 표현하기에는 어렵다. 또한, 손글씨를 정확히 표현하려면 1만 1172자를 모두 써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 결과가 당장 실생활에 이용될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매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훗날 자연에서 생기는 복잡한 매듭을 연구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포 속에서 풀리고 꼬이는 DNA, 공기가 만드는 여러 가지 파동에 대한 연구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전 세계에서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오랫동안 건강과 다이어트의 경계 대상 1호는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이었다. 계란 노른자에 지방의 일종인 콜레스테롤이 많다며 흰자만 먹는 사람도 많았고, 버터는 물론 삼겹살이나 마 ... 설탕 섭취량을 하루 200칼로리 이내로 제한하라고 권고했다. 473mL 콜라 한 개에 해당하는 양이다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만들면 화석연료 부족이나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도 없고, 오히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탄소순환자연계에서 탄소가 여러 형태로 순환하는 과정. 석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에서 추출한 물질이 플라스틱의 재료가 된다.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더 강하고 더 잦은 자극을 원하게 된다. 알코올이나 약물에 중독된 사람이 술이나 약물의 양을 늘리는 이유다. 자극이 점점 강해질수록 중독도 점점 깊어진다. 스마트폰이라면 처음보다 더 자주 더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눈에서 멀어지면 불안해할 정도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심지어 뇌의 회로에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