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만들어져 실수로 몸에 날이 닿아도상처가 크지 않다. 안전펌프가위노란 지렛대 장치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종이를 자를 수 있게 하고, 움직이는 가윗날의 각도를 좁혀 손가락이 끼어 다치는 사고 위험을 줄여 준다. 가방이 가벼워졌어요!학용품도 이제 한 가지만 잘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수 있어 손상되거나 사라질 위험이 매우 낮다. 이처럼 자연을 수학적으로 옮긴 디지털 장치는 모두 수학적인 원리로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컴퓨터가 어떻게 그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을까? 디지털과 논리회로 덕분이다. 기계적으로 1은 켜짐(on, 예)이고, 0은 꺼짐(off, 아니오)인데, ... ...
- 특명! 호주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특명을 받고 이 곳 호주로 오게 되었어. 그런데 보물 지도도, 나침반도, GPS(위성항법장치)도 없는 거 있지? 아무런 힌트도 없이 보물을 찾으라니 막막하고 답답해.아! 저기 캥거루가 지나간다. 캥거루는 호주에만 있는 진귀한 보물을 알고 있지 않을까? 깡총깡총 뛰어가서 물어 봐야겠다. ...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시장도 크게 바뀌고 있다. 휴대용 기기도 6축 센서, 터치스크린, 카메라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 색다른 게임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가정용 게임기나 PC게임에 비해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발자가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적용해 보기 쉽다.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돌려 보내며 등에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추적 장치를 달았어. 그래서 사람들은 이 장치가 내는 신호를 통해 은북이가 남해는 물론 멀리 일본 근처까지 헤엄쳐 다닌다는 사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선택한 대로 작동한다. 냉장고에는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온도조절 장치가 있다. 세탁기도 비슷하다. 이처럼 거의 대부분의 전자제품에는 작은 컴퓨터가 있다.한참을 생각하던 지성이는 아무래도 불안하다는 생각에 전자제품 작동이나 근처에 가는 일은 동생에게 부탁하기로 맘먹었다. ...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단 휠 커버는 사용할 수 없다. 휠 커버는 타이어 주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지만 다른 차와 부딪힐 수 있고 조립이 불량하면 더 큰 사고를 일으키기 때문에 금지했다.최첨단 자동차 기술 이끄는 F1 대회F1을 비롯한 모터스포츠는 자동차 부품의 일부분을 변경하거나 개조하는 ‘튜닝 ...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과학동아 l2010년 10호
- V)를 사용한다. 어떤 기전력장치가 전하량 Q에 전기에너지 W를 공급하고 있다면 이 기전력 장치의 기전력은 є=W/Q가 된다.기전력과 전압은 볼트라는 같은 단위를 갖지만 전기 회로의 다른 면을 나타낸다. 기전력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원을 나타내고, 전압은 전기 에너지의 소비처를 나타낸다. 기전력은 ...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오히려 ‘입는 로봇’이 훨씬 더 가능성이 있다. 입는 로봇은 외골격처럼 생긴 기계 장치로, 병사가 입고 움직이면 그 힘을 증폭시킨다. 평소보다 무거운 짐을 지고 행군하거나 더 크고 무거운 무기를 쓸 수 있게 해 준다. 다리로 움직이는 인간형 로봇은 장점이 많다. 바퀴나 캐터필러로 ... ...
- 중력은 없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9도, 즉 9nK(나노켈빈) 높은 정도까지 극저온 상태로 얼렸다.연구팀은 이 원자를 담은 실험 장치를 독일 ‘응용 우주과학 마이크로 중력 센터’에 있는 140m 높이의 탑에서 180차례나 떨어뜨렸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실험과 비슷한 셈이다.실험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승리다. 그렇다고 해서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