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굳게 하는 경화제를 섞어서 서식굴에 부어요. 그 다음 굳을 때까지 기다리는데, 크기에 따라 13분에서 4일까지 기다려야 해요. 그리고 굳은 플라스틱을 캐낸 다음 3D 스캐너를 이용해 컴퓨터에 굴의 모양을 저장하지요.어느 날 가재붙이의 서식굴 본을 떠서 연구실로 돌아가려는 중에 갯벌 주변에 사는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가우시안’이라는 프로그램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쓰이고 있지요.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은 가우시안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수만~수십 만 개의 원자가 연결된 아주 커다란 분자의 움직임까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거예요.서식굴에 방을 만들어 놓은 이유는 사냥 습성과 관계가 있어요. 우리는 몸이 크기 때문에 굴속에 몸의 대부분을 숨긴채, 몸의 앞부분만 쏙 내밀고 갯벌 표면에 있는 유기물을 걸러 먹어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서죠. 만약 먹이를 먹던 중에 포식자에게 잡혔다면 방속에 있는 수많은 다리들이 ...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달할 만큼 기다란 몸을 가진 갯지렁이는 자신의 몸을 모두 숨길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크기의 서식굴을 판다. 이렇게 크고 깊은 서식굴은 갯벌의 흙과 물이 만날 수 있는 면적을 넓힌다. 보통 갯벌은 표면 2mm까지만 산소가 공급되지만, 서식굴로 인해 갯벌 속 깊고 넓은 곳까지 산소가 공급된다. 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해요. 감쇠장치는 큰 추나 거대한 물탱크로 이루어져 있어요. 지진 같은 진동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다른 진동을 만나면 서로 합쳐지며 에너지가 없어지게 돼요. 이 원리를 이용해, 건물 꼭대기에 추나 물을 얹어 놓고 지진의 진동과 반대 방향으로 흔들리게 해서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의무화됐답니다. 이때 기준은 한 지역에서 2400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날 수 있는 강진의 크기예요. 서울 기준으로 규모 6.0~6.5 정도에 해당한답니다.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까운 나라인 일본에 비해 지진으로부터 꽤 안전한 지역이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편도 아니었고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좋은 알고리즘은 빠른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왼쪽으로 보내는 방법이지요.거품 정렬은 ‘옆에 있는 데이터와 크기를 비교하라’,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바꿔라’ 등 적은 양의 명령어만 있으면 ‘일’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코드도 비교적 간단하게 짤 수 있답니다. 하지만 정렬이 시작될 때부터 끝날 때까지 계속 모든 명령어를 사용하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있어서, 옆으로 연 뒤 위로 다시 밀어 올릴 수 있어요. 이렇게 창을 모두 열었을 때의 크기는 16:9에 가까워요. 지금의 와이드모니터나 영화 스크린과 같지요. 그래서 이 창을 열면 정원과 저택 앞 자연 풍경이 벽을 가득 채울 정도로 시원하게 보인답니다. 자연을 방안으로 들이는 ‘천연 모니터’인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이번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이에요. 땅이 갈라져 어긋난 것을 단층이라고 하지요. 활성단층은 지난 1만 1700년 안에 활동한 흔적이 있거나, 활 ... 의무화됐답니다. 이때 기준은 한 지역에서 2400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날 수 있는 강진의 크기예요. 서울 기준으로 규모 6.0~6.5 정도에 해당한답니다 ... ...
- [과학뉴스] 온몸이 말랑말랑~ 문어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모터 대신 화학반응을 이용해 움직이기 때문에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요. 5cm 크기의 옥토봇은 1mL의 과산화수소로 최대 12분 30초까지 움직일 수 있답니다. 또한 다리 끝은 최대 80°까지 구부릴 수 있지요.제니퍼 교수는 “현재 옥토봇은 단순한 동작만 가능하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움직임이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