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된다. 또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재가 퍼진다.이와 같은 자갈 모래 진흙 화산재 등이 물의
흐름
이나 바람의 힘으로 옮겨져서 물바닥이나 땅 표면에 층층으로 퇴적(堆積)되어 굳어져서 이루어진 암석을 퇴적암(堆積岩)이라 하고 퇴적암의 층을 지층(地層)이라 한다.반면 물속에서 생긴 퇴적암을 수성암 ... ...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통신로의 설정 및 종단(end)시스템간의 데이터전송에 있어서의 에러검출 에러복구
흐름
제어 및 접속다중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세션계층 : 기본기능은 대화통제이다. 갑과 을이 대화할 때 두 사람이 동시에 말을 시작하면 대화가 불가능하다. 갑이 말할 때는 을이 듣고, 을이 말할 때는 갑은 자기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충실하면서 전자공학의 대체적
흐름
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흐름
을 파악하는 정도라고 해서 수박겉핥기식의 교육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해이다.전자공학의 분야는 매우 넓고 개개의 분야가 깊이가 있으면서 동시에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야를 모두 깊숙하게 ... ...
보다 정확히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구성하는 요소이며 원자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전류는 전자의
흐름
이며 전자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도 우선 그 때문이다.이미 1930년에 나온 이론에 따르면 전자와 똑같지만 전하가 반대인 입자가 존재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전자는 Θ전하를 갖고 있고 반대되는 다른 입자는 같은 ... ...
데이콤의 새로운 서비스 PC VAN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정리한다. 따라서 토론에 늦게 참여하는 사람이라도 처음부터 일목요연하게 논쟁의
흐름
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회원이면 누구나 주제에 대해 의견을 게재할 수 있고 어떤 의견에 대해 주석을 달거나 반론을 제시할 수 있다. 단지 이러한 모든 과정은 자신의 컴퓨터 화면상에서 이뤄진다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번의 분출백두산의 화산활동사는 지금부터 1천9백90만년 전부터 13만년 전까지 7번에 걸친
흐름
성이 강한 염기성 화산분출로 8백~1천m 두께의 현무암대지 및 고원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61만년 전부터 최근 2백87년 전까지 6번의 점섬이 크고 폭발력이 강한 산성 화산 활동으로 장엄한 백두산을 하늘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멈춘 상태에서도 관성때문에 어느 정도 계속되는데 기인한다. 신경세포인 유모세포가 이
흐름
을 감지, 뇌에 전달하기에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안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처음에 어찔한 경우가 있다. 역시 전정속의 이석의 위치가 변하므로 그렇게 느끼게 되는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풀어 본 후 정답과 대조해보는 자세가 필요해요. 아울러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출제의
흐름
을 미리 파악해두는 일도 고득점 비결이에요.길-가사과목은 여학생들이 쉽게 선택할 수 있고 단시간에 고득점을 획득할 수 있는 유리한 과목인 것은 분명해요.하지만 암기 위주로 단편적인 지식만을 ... ...
한방약의 고향 중국의 안국시 약재시장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쓴 다섯가지 맛이 있다.이밖에 장기와 약의 친화성을 가늠하는 귀경(帰経)과 기(氣)의
흐름
을 조절하는 승강부침(昇降浮沈)이라는 판단기준이 있다.이런 생약의 특성을 알고 병자를 진단하는 방법이 '변증론치' (弁証論治)이다. 기술적으로는 '사진'(四診) 즉 망(望) 문(聞) 문(問) 절(切)이다. 예를들면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대학에 독립된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내가 현재 다니고 있는 서울대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
에 맞추려고 애쓰는 것 같다. 그 결과로 공대내의 관련학과인 공업화학과와 화학공학과의 전공교수들로 구성된 생물공학 협동과정이 89년에 창설되었다.대학원 과정으로 되어 있는 생물공학의 전공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