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된다. 또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재가 퍼진다.이와 같은 자갈 모래 진흙 화산재 등이 물의
흐름
이나 바람의 힘으로 옮겨져서 물바닥이나 땅 표면에 층층으로 퇴적(堆積)되어 굳어져서 이루어진 암석을 퇴적암(堆積岩)이라 하고 퇴적암의 층을 지층(地層)이라 한다.반면 물속에서 생긴 퇴적암을 수성암 ... ...
대 해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단지 몇일 동안에 모두 방류했을 것 같다. 따라서 이것은 아마존강의 1천배나 큰강의
흐름
에 해당하는 효과를 가졌을 것이다.이 분류는 대양으로 흐르면서 몇일 사이에 9인치 높이만큼 해수면을 올려 놓았을 것이다. 대륙붕을 뒤덮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밀어닥치는 홍수를 보면서 피난하고 나중에 ... ...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통신로의 설정 및 종단(end)시스템간의 데이터전송에 있어서의 에러검출 에러복구
흐름
제어 및 접속다중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세션계층 : 기본기능은 대화통제이다. 갑과 을이 대화할 때 두 사람이 동시에 말을 시작하면 대화가 불가능하다. 갑이 말할 때는 을이 듣고, 을이 말할 때는 갑은 자기 ... ...
데이콤의 새로운 서비스 PC VAN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정리한다. 따라서 토론에 늦게 참여하는 사람이라도 처음부터 일목요연하게 논쟁의
흐름
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회원이면 누구나 주제에 대해 의견을 게재할 수 있고 어떤 의견에 대해 주석을 달거나 반론을 제시할 수 있다. 단지 이러한 모든 과정은 자신의 컴퓨터 화면상에서 이뤄진다 ... ...
보다 정확히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구성하는 요소이며 원자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전류는 전자의
흐름
이며 전자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도 우선 그 때문이다.이미 1930년에 나온 이론에 따르면 전자와 똑같지만 전하가 반대인 입자가 존재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전자는 Θ전하를 갖고 있고 반대되는 다른 입자는 같은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번의 분출백두산의 화산활동사는 지금부터 1천9백90만년 전부터 13만년 전까지 7번에 걸친
흐름
성이 강한 염기성 화산분출로 8백~1천m 두께의 현무암대지 및 고원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61만년 전부터 최근 2백87년 전까지 6번의 점섬이 크고 폭발력이 강한 산성 화산 활동으로 장엄한 백두산을 하늘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멈춘 상태에서도 관성때문에 어느 정도 계속되는데 기인한다. 신경세포인 유모세포가 이
흐름
을 감지, 뇌에 전달하기에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안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처음에 어찔한 경우가 있다. 역시 전정속의 이석의 위치가 변하므로 그렇게 느끼게 되는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풀어 본 후 정답과 대조해보는 자세가 필요해요. 아울러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출제의
흐름
을 미리 파악해두는 일도 고득점 비결이에요.길-가사과목은 여학생들이 쉽게 선택할 수 있고 단시간에 고득점을 획득할 수 있는 유리한 과목인 것은 분명해요.하지만 암기 위주로 단편적인 지식만을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지구의 바다에 해류가 있는 것처럼 태양에도 다양한 유체
흐름
이 있을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회전하는 원형의 기체덩어리 내에는 거대대류가 있을 것이라고 예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거대 대류파가 표면에 나타나는 대류인지 아니면 대류층 하부에만 흐르고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대학에 독립된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내가 현재 다니고 있는 서울대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
에 맞추려고 애쓰는 것 같다. 그 결과로 공대내의 관련학과인 공업화학과와 화학공학과의 전공교수들로 구성된 생물공학 협동과정이 89년에 창설되었다.대학원 과정으로 되어 있는 생물공학의 전공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