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안 11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박 장관은 “지난 9개월간 사안에 따라 방역체계를 바꿔왔다”며 “지금은 그런
작은
변화가 아니라 근본적 방역체계 변화를 추진할 때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쉽독의 진실, 머리만 깎은 개
팝뉴스
l
2020.10.08
양을 모는 쉽독이다. 머리만 털을 깎았더니 저런 모습이라고 한다. 거대한 몸과
작은
머리가 재미있는 대비를 이룬다. 또 크고 둥글둥글한 머리가 사실이 털 효과라는 점에 놀라게 된다고 많은 네티즌들이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유사점은 그녀에게 그 두가지가 연결되어 있다고 의심하게 만들었다. 알려지지 않은
작은
RNA 분자의 한 부분이 크리스퍼의 한 부분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치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는 두 개의 퍼즐 조각 같았다. 결국 박테리아가 자신을 보호하는 면역체계의 일종으로 크리스퍼-캐스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근육이 많은 비글, 돼지 게놈에서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그러나 세계 각지에서 아직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과 크고
작은
분쟁이 이뤄지고 있다. 생명윤리 측면에서 최근 가장 뜨거웠던 논란은 인간 배아의 유전자를 교정해 이른바 ‘맞춤형 아기’를 탄생시킨 중국 허젠쿠이 남방과학기술대 교수 논란이다. 허젠쿠이 교수는 201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근육이 많은 비글, 돼지 게놈에서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근육이 많은 비글, 돼지 게놈에서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변형작물(GM)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측정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실험결과 1cm 범위에서 1나노미터보다
작은
차이를 2만분의 1초 내에 측정할 수 있다. 기존 기술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은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올해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김 교수가 개발한 센서 기술은 첨단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감염 검사, 이제 집에서 한다
2020.10.07
레이저로 자른 플라스틱 시트는 모공이
작은
3차원(D) 입체 그래핀 구조를 띤다. 때문에 이 모공들은 센서에 많은 양의 표면적을 만들어 매우 적은 양에만 존재하는 화합물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이 센서에서 그래핀 구조는 코로나1 ... ...
'금방 지나간다고?'…코로나 후유증 얼마나 오래가나
연합뉴스
l
2020.10.07
명확한 답은 나오지 않았다. 우선 신체 대부분의 곳에서 바이러스가 사라졌지만, 아주
작은
일부에 여전히 남아있을 수가 있다. 킹스 칼리지 런던의 팀 스펙터 교수는 "만약 계속해서 설사를 한다면 바이러스가 내장에, 미각 상실이 지속되면 신경에 남아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일 수 있다"고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