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뉴스
"
정밀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연, 반도체용 핵심소재 '광개시제' 상업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3
광개시제에 비해 투과율이 4% 향상됐고 감도도 우수하다. 제조원가도 낮다. 연구팀은 "
정밀
공정의 특성상 1%의 차이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옥심계 광개시제 시장은 세계적으로 1000억 원 규모에 이른다. 국내 시장도 500억 원 규모다. 하지만 그 동안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가 ... ...
혼술족에 경고 “하루 적정 음주량은 맥주 딱 한 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알려진 사실이지만, 연구팀은 이 사실을 수만 명을 대상으로 수십 년치 데이터를 확보해
정밀
하게 검증했다. 연구팀은 1969~1970년에 군대에 복무한 남성 4만 9000명을 선정한 뒤, 39년 뒤인 2009년까지 건강 상태를 건강 기록을 통해 추적 조사했다. 복무 당시 18~20세였던 대상자가 약 60세가 될 때까지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것이다. DNA 오리가미 기술은 DNA 단일가닥이 스스로 결합하면서 나노미터 규모의
정밀
한 3차원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연구팀은 DNA 오리가미 기술로 가로 세로 55㎚ 크기의 플레이트와 여기에 연결돼 회전운동을 하는 25㎚ 길이의 막대를 만들었다. 시침만 있는 네모난 시계를 생각하면 이해가 ... ...
[짬짜면 과학 교실] 물질은 물체의 어머니
2018.01.20
합니다. 또한 둘 이상의 물체를 고정도 시키고 분리도 해야 할 경우에는 못 대신
정밀
하게 철을 깎아 만든 암수 나사를 사용합니다. 이렇듯 물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물질의 성질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물체를 만들 때는 쓸모에 적당한 물질로 만듭니다. (사진= pixabay 제공) 생활의 기본이 ... ...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8.01.16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있도록 ‘세포
정밀
패터닝 장치(Guide Slit)’도 고안했다. 신 연구원은 “바이오칩 같은 실험 도구를 직접 개발한 경험이 없었던 만큼 시행착오를 수 없이 겪었다”며 “그럴 때마다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고민했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들려오는 굉음, 중성자별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네이처 제공 ‘네이처’ 최신호 표지에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라디오파열음(FRB)을 관측하는 윌리엄고든망원경이 실렸다. 라디오파열음은 천체로부터 지구에 도달한 ... 것도 가능하다. 국제 공동 연구진은 향후 차임 망원경을 이용해 패러데이 회전에 대한
정밀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 ...
‘제약사 포기에도 후퇴 없다’ 치매 조기 진단 춘추전국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네 종류의 추가 지표 단백질도 발굴해 뇌 속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침착 여부를 더
정밀
하게 알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검사 예측 정확도는 최대 90%에 이른다는 게 묵 교수의 설명이다. 새로운 진단 단백질을 탐색하는 연구팀도 있다. 뇌에 아밀로이드 덩어리가 쌓일 때는 신경세포가 모여 ... ...
부부 머리 맞댄 '나노 입자 리모콘', 세계 최초로 미세 액체방울 원격조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모양을 이뤘다. 연구팀은 레이저를 쏘는 부분을 조절해 액체방울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정밀
하게 바꾸는 데에도 성공했다. 마지막으로 전기를 흐르게 하면 순간적으로 나노 입자가 액체 방울의 양 끝에 몰리며 중간에 틈을 만든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 틈으로 두 개의 액체방울의 용액이 흐르게 ... ...
소금으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빚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있다. 국내 연구진이 소금의 주 성분인 ‘나트륨(Na)’을 이용해 차세대
정밀
반도체를 제작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전자회로를 극도로 얇게 만든 ‘2차원 반도체’ 실용화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윤선진 ICT소재연구그룹 연구원팀은 나노 두께 극초박막 형태 ... ...
2018년 기대되는 우주 탐사 계획들
2018.01.07
돌며 1년 간 수성의 고유 자기장과 자기권, 수성의 표면 지형과 광물, 화학적 구성 등을
정밀
조사하게 됩니다. 탐사선이 수성에 도달하는 데는 약 7년의 시간이 소요돼 2025년에야 수성에 도착합니다. 또 섭씨 350도 이상의 온도에 견뎌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프로젝트입니다. 수성 탐사선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