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성
지식
두뇌
지적
지혜
교양
뉴스
"
지능
"(으)로 총 5,62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는 인공
지능
연합뉴스
l
2022.05.18
정책 메일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받은 이번 투표에는 총 768명이 참여했다. 인공
지능
기술은 전체 유효응답의 15.1%를 차지했다. 새 정부가 반도체, 배터리 등 기술과 함께 초격차 확보를 위해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키로 한 기술 분야다. 2위 로봇 기술은 유효응답의 13.8%를 점유했다. 새 정부가 ... ...
일란성 쌍둥이도 자란 환경 다르면
지능
·가치관 차이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이같은 차이는 쌍둥이들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쌍둥이는
지능
지수(IQ)에서 16점 차이가 나는 등 인지 점수에서 큰 차이가 났다. 일란성 쌍둥이의 IQ 차이가 보통 7 이상 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자라난 문화에 따른 가치관 차이도 났다. ... ...
"AI 개발·활용 때 인간 존엄성 보장돼야"…인권위 가이드라인
연합뉴스
l
2022.05.17
보고 관련 내용을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인권위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인공
지능
기술의 개발과 활용 전 과정에서 인권적 가치가 보호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AI 눈 장착한 드론 날려 노후 항만시설물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점검 중인 드론. 건설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드론과 인공
지능
(AI) 분석을 접목한 항만시설물 점검 체계를 개발했다. 접근이 어려운 항만 시설물 점검이 가능해지고 점검원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드론과 AI를 활용한 항만시설물 점검체계를 개발했다고 ... ...
조영제 없이 인체 내부 혈관 움직임 들여다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정보통신(IT)융합기계공학과 교수와 왕리홍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 연구팀이 인공
지능
(AI)을 접목한 ‘국지화영상기법’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린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낸다. 이런 ... ...
1분만에 지진 규모 파악..."중력파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코트다쥐르대 연구팀은 “일본 지각판에서 지진이 났을 때 발생하는 중력파를 인공
지능
(AI)으로 학습시킨 결과 1분 내 대형 지진의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는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0일 발표했다. 지진은 보통 지진계로 지면의 진동이나 지진파를 감지해 알아내지만 규모 7 ... ...
음식 씹는 과정 모방해 최고의 맛 찾아주는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음식맛을 평가하는 ‘로봇 셰프’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로보틱스 및 인공
지능
(AI) 프론티어스’ 최신호에 공개했다. 인간은 음식을 씹을 때 음식의 질감과 맛의 변화를 느낀다. 음식을 씹는 동안 생성된 침과 소화 효소는 음식에 포함된 화합물을 혀에 존재하는 미각 수용체로 전달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세포 지도, 완성에 한 걸음 가까워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5
냉동한 인간 장기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했다. 분석된 세포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인공
지능
(AI)으로 질병의 유전적 특성과 연관시킬 수 있도록 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웰컴생어연구소 연구팀은 면역세포의 지도를 만들었다. 기증자 12명의 16개 조직에서 선천 면역세포와 적응 면역세포를 조사해 3 ... ...
[프리미엄 리포트]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
과학동아
l
2022.05.14
상당히 많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5월호, [엣지 사이언스] 인공
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실제 사람은 몇 명일까요? ... ...
KAIST 조정훈 학술상에 신효상 크랜필드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항공우주공학 분야에 기여했다”며 “유도, 항법 및 제어가 주 연구 분야이며 최근 인공
지능
의 한 갈래로서 정보 기반 제어 기법을 주창하고 다수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신 교수는 2016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 교수는 학문적 이론을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