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친절한 윈도우 업데이트, 머신러닝이 돕는다
2018.07.27
윈도우XP 이후 지난 십수년간 불만과 오해에 시달려 왔다. ‘좋은 건 알겠지만 싫다’는
쪽
이 가깝겠다. 어떻게 보면 이용자가 원하는 것과 운영체제 공급 기업 사이에 일어나는 괴리 중 가장 큰 것으로 꼽을 수 있다. 새 업데이트나 기능들로 인해 시스템이 불안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업데이트를 ... ...
[카드뉴스]화성대접근 관측포인트3
동아사이언스
l
2018.07.27
태양계 최대 협곡 '마리네리스'를 볼 수 있는 날이니 놓치지 마세요! 포인트3. 남서
쪽
하늘의 개기월식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을 이룰 때 나타납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 광선을 반사해 빛나죠. 이번 화성대접근에는 올해 두 번째 개기월식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Tip. ... ...
인도양 2000m 심해서 300도 열수 치솟는 ‘활화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7
2016년 11월 취항한 한국형 해양연구선 ‘이사부호’를 이용해 탐사를 벌인 결과 인도양 북
쪽
2000m 심해에서 새 열수공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 열수공을 2018년 5월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여러 추가 조사를 거쳐 26일 공식 발표했다. 한국이 심해 열수분출공을 독자적으로 발견한 장소. - 동아일보 ... ...
미니 뇌 진짜 만드나?...신경세포 기본 요소 갖춘 ‘뇌 오가노이드’ 최초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메소드’에 발표했다. 일반적인 신경세포는 크게 머리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체와 한
쪽
방향으로 뻗어나온 굵은 축삭돌기(axon), 거기서 파생돼 나뭇가지처럼 돋아난 수많은 수상돌기(dendrite)로 구성된다. 여기서 축삭돌기는 굵은 수상돌기로 표면에 신경수초막이 점점이 박힌 것이 특징이다 ... ...
맘을 슬프게 만드는 당근들
팝뉴스
l
2018.07.25
사이에서 나온다. 엄마와 헤어지기 싫어 아기 당근이 매달리고 있는 것이다. 어느
쪽
이건 보는 사람의 마음이 슬퍼진다. 당근을 보고서 슬퍼지다니. 아주 신기하고 이상한 체험이 아닐 수 없다고 해외 네티즌들을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15년 만에 지구 가까이 오는 화성…28일 새벽부터 우주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4
6시 14분까지 이어지지만 관측은 달이 지는 5시 37분까지 가능하다. 관측 장소는 남서
쪽
으로 높은 빌딩이나 산이 없는 탁 트인 곳이 좋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1년에 일어난다. 한편 이번 천문 현상을 관측하는 행사도 다양하게 열린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이달 27~28일 ‘붉은 행성 붉은 달을 ... ...
갈매기 위에 앉은 갈매기
팝뉴스
l
2018.07.21
행동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이해 못할 뿐 아니라 더 황당한
쪽
은 아래층의 갈매기다. “나한테 왜 이러냐”고 묻고 싶은 것 같다. 코믹한 상황을 담은 화제의 사진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금문교에서 촬영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뉴욕의 뒤집힌 청바지 ‘화제’
팝뉴스
l
2018.07.19
받았다. 보통은 주머니가 위
쪽
에 있지만 이 뒤집힌 청바지의 경우에는 주머니가 아래
쪽
에 위치해 있다. 길이는 짧은 바지에서 긴 바지까지 다양하다. 청바지 사진을 보면 비난을 쏟아질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지만 사실은 찬사가 많다. ‘쿨하다’는 반응이 네티즌 사이에 적지 않은 것이다.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무리한 문이과 통합에 길 잃은 백년대계
2018.07.19
통계, 미적분 중 택일하도록 한다는 안은 더욱 심각하다. 모든 학생이 쉬운 확률과 통계
쪽
으로 몰릴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미적분은 극소수만 선택하는 교과목으로 전락 또는 소멸하고, 이공계열로 진학하는 학생 대부분이 미적분을 배우지 않고 입학하는 어이없는 상황이 현실로 나타날 ... ...
‘액체 금속 전자회로’ 개발… 접을 수 있는 기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줄였다. 연구진은 액체 금속을 100㎛ 선폭으로 인쇄한 다음, 한
쪽
으로 균일하게 잡아 늘이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렇게 잡아 늘린 액체 금속을 다른 기판에 옮겨 붙이는 공정 역시 개발했다. 이 과정을 6∼7회 반복해 선폭 2㎛의 액체 금속 전자회로를 만들었다. 연구진은 첫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